기획 & 캠페인
"씨티은행, 카드 부정발급 신고 2번이나 씹어"
상태바
"씨티은행, 카드 부정발급 신고 2번이나 씹어"
  • 송정훈 기자 song2020@csnews.co.kr
  • 승인 2010.09.20 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낸스=송정훈 기자] 한국씨티은행(은행장 하영구)이 카드 부정발급 신고를 두 번이나 접수 받고도 이를 제대로 처리치 않아 소비자가 빚 독촉에 시달리는 일이 벌어졌다.

광주에 사는 김 모(남.33세)씨는 지난 2000년 12월께 우리카드, 한미카드 등 6개 카드사에 카드대금이 연체됐다는 채권추심회사의 독촉장을 받았다. 연체된 금액은 무려 3천500만원으로, 이중 한미카드 연체금이 300만원이었다.

본인이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한 사실이 없었기에 김 씨는 깜짝 놀랐다.

당시 삼성전자 수원공장에서 근무하면서 기숙사 생활을 하던 김 씨는 급히 전라남도 광주의 집으로 내려와 은행 및 카드사를 직접 다니며 카드 부정발급 사실을 신고했다. 결국 우리은행 등 5개사에서 ‘부정발급이 인정된다’며 채권추심을 취소했다. 과거 카드발행을 남발하면서 불거진 판촉경쟁의 부작용이라는 게 은행들의 해명이었다.

김 씨는 당시 한미카드 금남로 지점에서 신고를 마쳤으며 5년이 넘도록 아무런 통보가 없어 일이 다 해결된 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2005년말 채권추심회사로부터 독촉장이 다시 날아왔다. 김 씨가 한미은행과 통합된 씨티은행에 문의하자, 은행 통합과정에서 담당자가 퇴사해 부정발급 신고를 원활히 처리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시인했다고 한다.

씨티은행 측은 김 씨에게 가까운 지점에 가서 사유서를 작성해주면 해결해주겠다고 약속했다는 것.

결국 김 씨는 광주 상무동지점으로 가서 사유서를 작성했고, 씨티카드 채권팀에 팩스를 보내는 과정까지 지켜봤다.

김 씨는 “이후 아무런 연락이나 통보조차 없어 부정발급 사안이 자체조사결과 인정돼 연체금이 해결된 줄 알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올 5월께 채권추심을 담당하는 솔로몬에이엠씨대부에서 법원에 출석하라는 연락이 날아들었다. 씨티은행이 김 씨의 카드 부정발급 신고 건을 제대로 처리치 않고 연체금 회수를 솔로몬에이엠씨대부에 넘긴 것이었다.

김 씨가 씨티은행 본사카드채권팀에 확인한 결과, 부정발급 신고서나 사유서를 찾을 수 없다며 가까운 씨티은행에 가서 서류를 다시 보내주면 해결하겠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김 씨는 “신고를 두 차례나 했고, 10년간 아무런 연락이 없다가 빚 독촉장이 왜 집으로 오는 지 알 수가 없다”며 “은행이 통합되고 퇴직됐다고 해서 이렇게 카드업무 처리를 불성실하게 해야 되느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공식 답변을 요청하자 씨티은행 측은 채권(신용카드 연체금)에 대해 김 씨에게 청구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혀왔다.

씨티은행 관계자는 “현재 채권 매수처인 솔로몬에이엠씨대부에 환매를 요청했다”며 “이번 건은 전액 감면으로 종결처리할 예정이며 향후 고객에게 연체금 납부를 청구하지 않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