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에서 `슈퍼결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3천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신상진(한나라당) 의원이 2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항생물질 내성균 감염원 진료환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슈퍼결핵인 `다제내성 결핵'과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천717명이었다. 이는 건보심사평가원이 슈퍼결핵 등에 대한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2천330명)에 비해 16.6%가 증가한 수치다.
슈퍼결핵은 1차 결핵치료제에 내성을 가져 2차 결핵치료제가 처방되는 '다제내성 결핵'과 2차 치료제까지 내성을 가진 광범위 '약제내성결핵'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다제내성 결핵의 치사율은 26%에 이르고 약제내성 결핵은 3~7년 이내 치사율이 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심각한 질병이다. 특히 증상이 기침, 가래, 발열 등 환절기 감기와 비슷해 차칫 감기로 오인,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
지난해 '슈퍼결핵' 환자 중 다제내성 결핵이 2천494명,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이 223명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천760명으로 여성(957명)보다 1배가량 더 많았다. 또 연령별로는 30∼40대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신 의원은 "1950년대 공포의 대상이었던 결핵이 새로운 형태로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슈퍼결핵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정책 확립과 정부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