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최현숙 주필]최근 공익요원의 직원 향응 접대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한국소비자원(원장 김영신)이 직원들을 대상으로 협박성 보안조치를 내려 원천적인 비리 차단보다 직원들의 입막기에 급급하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1일 서울 양재동 한국소비자원 13층 강당에서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반부패. 청렴 결의문을 낭독하고 청렴 서약서를 제출하는 ‘임직원 반부패. 청렴 서약 및 선포식’을 가졌다.
소비자원은 이번 행사의 추진 배경으로 최근 비리관련 음해성 투서및 언론보도로 소비자원의 명예와 위신이 추락해 청렴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최근 공익요원 접대 비리로 사회적 물의가 빚어지고 각계에서 비난을 사고 있는데 대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소비자원은 이번 선포식에서 반부패 청렴의식 제고를 위해 인사 . 평가 시스템을 개선하고 자체 감사및 감시 활동을 강화해 가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소비자원은 그러나 이번 청렴 반부패 추진 과정에서 내부 신고는 크게 포상키로 하면서 외부 투서를 한 사람은 반드시 색출해 강력 처분하겠다고 협박성 조치를 내놨다.
또 모든 네트워크를 총 동원해 투서자를 색출하고 수사기관에도 수사 의뢰하겠다고 엄포했다.
결국 최근 공익요원 접대 비리등 내부 비리 문제와 관련 외부 기관이나 언론등에 정보를 제공할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보복하겠다는 사실상의 ‘함구령’을 내린 것이다.
공익요원 접대 비리의 경우 내부에서 이미 공론화되고 정식 보고가 이뤄졌음에도 당시 박명희 원장이 함구령을 내려 사건을 덮으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소비자원 자체의 비리 척결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고 있다는 반증이다.
내부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아 외부기관으로 투서가 이루어지고 수사가 진행되면서 언론에도 자연스럽게 보도되는 일련의 비리 정화 과정을 투서자의 부도덕함으로만 몰고 가며 이를 색출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는 양상이다.
투서는 대부분 내부 정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될 경우 외부로 튀어 나가지 않는다.
이번 투서도 공기관에서 많은 수의 직원이 연루된 엄청난 비리가 발생했고 사건이 불거지자 원장 주도로 이를 직접 덮는 일련의 조직 도덕 불감증이 도를 넘어서자 투서가 담을 넘어간 것이다.
소비자원이 비리 척결이 아닌 직원의 ‘함구령’을 통해 조직의 영속성을 추구한다면 이만저만한 오판이다.
썩은 고름을 가두어두면 세포뿐 아니라 몸전체가 패혈증에 걸려 아예 목숨을 잃는 일도 있을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