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유성용 기자] 한국소비자원(원장 김영신)의 '성 접대및 금품 로비 의혹'사건이 국정감사에서 날선 조사를 받았다.
지난 5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소비자원에서 근무했던 공익요원의 성 접대및 금품 향응 의혹 등 근무태만 실태에 대한 의원들의 강도 높은 질타가 이어졌다.
증인으로 채택된 전 모(34)씨는 정무위의 동행명령권 발동에도 불구, 병가를 이유로 출석을 끝내 거부했다.
전 씨는 2006년 3월3일부터 2008년 3월28일까지 소비자원에서 공익요원으로 근무할 당시 자신의 근무태만과 무단결근을 눈감아 주는 대가로 소비자원 직원 수십 명에게 수천만원 대의 금품과 성 접대 등의 향응을 제공한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특히 전 씨는 연가 37일, 병가 30일, 특별휴가 6.5일, 청원휴가 7일 등 총 80.5일의 휴가를 사용했으며 이 기간 총 60일간 중국에 체류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상태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의원은 "소비자원의 공익근무요원 관리실태가 허술해도 너무 허술하다"며 "이는 조직 기강을 무너트리는 해당 기관장의 명백한 직무유기 아니냐"고 따졌다.
미래희망연대 김정 의원은 "소비자원은 전 씨에게 총 16차례 국외여행허가추천서를 발급했는데 이중 2008년 1월 3일에서 13일의 경우 병무청이 발급한 국외여행허가서 등의 날짜와 서로 맞지 않다"며 "시공간을 넘나드는 전 씨는 전우치의 후예냐"고 비꼬았다.
이어 김 의원은 "소비자원 공익요원 로비의혹은 전 씨의 철저한 사기행각과 더불어 소비자원의 방조가 빚어낸 합작품"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은 "전 씨 외에 상습적 근무지 이탈 사례가 더 있는 만큼 공익요원 근무체계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소비자원의 부실한 관리 실태를 질타했다.
민주당 박선숙 의원도 "전 씨는 '신의 아들'인가"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소비자원 원장의 학맥 독식에대해서도 날선 비판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은 "공익근무요원 복무상황 부를 보면 남이 대신 근무기록에 사인을 했다던 지 과다결근을 했음에도 소비자원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관리태만을 지적했다.
이어 "지난 10대, 11대, 12대 등 3대에 걸쳐 소비자원 원장들이 모 대학 가정관리학과 출신들"이라며 "특정학교 출신이 특정직을 독점하는 것은 이 대학 출신들의 능력이 뛰어나서 그런 것이냐"고 비꼬았다.
이에 대해 소비자원 김영신 원장은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므로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사실로 밝혀진다면 적절한 조치가 취해져야 할 것"이라며 "물의를 빚어 죄송하다"고 말했다.
증인으로 참석한 소비자원 이승신 전 원장은 "전 씨의 가짜 진단서 진위는 수사결과를 통해 확인해 볼 문제"라며 "당시(원장 재직기간)에는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병가 관련 문서를 확인했다"고 해명했다.
또 한명의 소비자원 기관 증인 박명희 전 원장은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