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7일 부산 강서구 생곡동 환경자원공원 인근에서 최종태 사장, 허남식 부산시장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폐기물 연료화 및 발전시설' 기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생활폐기물 연료화 및 발전시설'은 단순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돼온 종이, 비닐, 헝겊 등 생활폐기물을 연료로 전기를 만드는 신재생에너지 회수시설이다.
포스코는 앞으로 부산시에서 수거한 하루 평균 900여t의 생활폐기물 중 금속류는 재활용하고 나머지 가연성 폐기물로 하루 평균 500t의 고형연료를 생산한 뒤 이를 발전소 연료로 써서 시간당 2만5천KWh의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 평균 4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는 2013년까지 2천133억원이 들어가는데, 포스코 등 민간 투자사가 916억원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정부와 부산시가 충당한다"면서 "포스코와 부산시는 폐기물 연료화로 연간 15억원의 탄소배출권 확보와 340억원 가량의 원유 수입대체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향후 포항, 대구 등 대도시나 대형 매립장을 중심으로 이같은 생활폐기물 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