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낸스=금융팀] 신한금융지주 내분사태와 관련한 검찰 및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신상훈 금융지주 사장측을 고소한 이백순 신한은행장과 라응찬 신한지주 회장측에 오히려 불리한 조사결과가 잇따라 쏟아져 나오고 있어 그 배경과 향후 조사 방향에 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고소인측이 역풍을 맞고 있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어서 향후 사태추이가 주목된다.
8일 금융당국과 검찰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신상훈 사장을 조기 퇴진시키기 위해 시작된 이번 내분 사태에서 초기 검찰 및 금융감독원 조사에서는 오히려 신 사장측이 아닌 라 회장측에게 더 불리한 정황이 속속 포착되고 있다. 고소인 측이 오히려 더 큰 혐의선상에 오르는 역풍을 맞고 있는 것이다.
우선 라응찬 회장 관련, 실명제법 위반여부를 조사중인 금융감독원측은 라 회장이 실명제법을 위반한 사실을 적발하고 조만간 그를 중징계 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울러 신상훈 사장 배임 횡령 혐의를 수사중인 검찰도 문제의 이회건 신한금융지주 명예회장 자문료 15억6천만원의 용처와 관련해 이중 5억원을 라 회장측 용도로 사용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400억원대 거액대출과 관련한 신상훈 사장 배임혐의 조사에선 아직까지 뚜렷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판세만 놓고 보면 고소를 당한 신상훈 사장측 보다 라응찬 회장측이 더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따라 금융계에선 라 회장측이 자신들에게 불똥을 튈지도 모르는 일을 갖고 왜 서둘러 신상훈 사장을 고소했는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 다는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신한 지주내에서 사용되는 큰 돈들은 대부분 라 회장측의 허락을 얻고 지출됐을 텐데 왜 그런 일을 갖고 신한은행이 신상훈 사장을 검찰에 고소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금융권에선 신한지주측이 신상훈 사장 퇴진을 지나치게 성급하게 추진하다가 문제의 15억6천만원에 대한 세부 사용처를 꼼꼼히 살펴보지도 않고 신 사장 혐의만 확신한 채 서둘러 고소한 게 화근이 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고소인 측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황만을 갖고 신 사장을 고소조치 한 것이 역풍을 몰고 왔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라 회장에 대한 금융당국의 실명제위반여부 조사가 현실로 다가오자 2인자를 조기에 교체키로 하고 신 사장 퇴진을 서둘렀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금융권은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라 회장의 실명제법 위반 혐의가 사실로 확인되면서 금융감독원(원장 김종창)도 책임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이런 저런 이유로 라 회장 실명제법 위반여부 조사를 미뤄오다가 국회의 집요한 추궁끝에 때늦은 검사가 이뤄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문제를 놓고 다음주 이뤄질 국회국정감사에서 금융감독원이 심한 추궁을 받을 것으로 보여 김종창 금감원장이 어떤 답변을 내놓을 지도 주목된다.
한편 신한은행측은 15억원 횡령수사와 관련한 진술이 사실과 다르다고 맞서고 있어 향후 수사과정과 법정에서 치열한 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아울러 라 회장의 실명제법 위반여부가 최종 확인될 경우 그의 거취에도 중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에선 기획재정부 고위관료 출신인 K씨와 L씨 등 외부 유력 인사가 신한은행 차기 최고 경영자로 영입될 것이라는 성급한 소문까지 나도는 등 신한금융지주 사태는 그야말로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앞으로 신한지주 사태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