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3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총수가 있는 3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수일가의 실제 지분율은 4.40%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빌표한 자산기준 5조원 이상 53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의 주식소유 현황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재벌총수가 있는 35개 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0.50%에 달했다.
하지만 총수일가의 지분율은 총수 개인 2.12%와 친족 2.28%를 합쳐 4.40%에 그쳤으며, 나머지는 계열회사 지분율 43.58%, 비영리법인.임원 지분율 2.52%였다.
2009년에 이어 연속으로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된 31개사의 내부지분율은 50.46%로 작년(52.86%)에 비해 2.40%포인트가 감소했다.
이들 31개 대기업집단의 총수 지분율은 2009년 2.03%, 2010년 2.01%였으며, 친족 지분율은 2.50%(2009년)에서 2.33%(2010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많이 감소한 곳은 KCC로 6.52%포인트가 줄었고, 이어 웅진(1.8%포인트), OCI(1.56%포인트), 현대산업개발(1.18%포인트), 금호아시아나(1.13%포인트)의 순이었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크게 증가한 곳은 동부(6.63%포인트), 신세계(1.21%포인트), 코오롱(1.19%포인트), CJ(0.96%포인트), 동국제강(0.41%포인트) 등이었다.
총수가 있는 35개 대기업집단 소속회사는 1천85개로 이 가운데 총수일가가 100% 소유하고 있는 계열회사는 29개사였고, 총수일가 지분이 전혀 없는 곳은 755곳에 달했다.
35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지주회사 체제인 12곳(LG.SK.GS.두산.LS.CJ.한진중공업.웅진.코오롱.하이트맥주.세아.한국투자금융)의 총수일가 지분율은 5.68%, 계열회사 지분율은 45.24%로 일반 기업집단(각 3.85%, 42.86%)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