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정기 예금금리 연2%대 하락.. 역대 최저치
상태바
정기 예금금리 연2%대 하락.. 역대 최저치
  • 임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10.17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시중은행들의 정기예금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연 2%대로 추락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의 1년 만기 '자유자재정기예금'의 금리는 최근 연 2.9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은행이 집계한 만기 1~2년 미만 정기예금의 가중평균 금리를 기준으로 작년 5월의 역대 최저치인 연 2.94%보다 낮은 수준이다.

산업은행의 자유자재정기예금 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 이후인 2008년 10월 말 연 6.54%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산업은행은 최근 시중금리 하락 등을 반영해 1년 만기 '자유자재정기예금' 금리를 8월 말 연 3.43%에서 9월 말 3.08%, 최근 2.93% 등으로 내렸다고 설명했다.

일부 시중은행들은 또 지난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정기예금 금리를 일제히 내렸다.

우리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0.1~0.15%포인트, 적금금리를 0.1~0.2%포인트 각각 인하했다. 이 은행의 1년 만기 키위정기예금 금리는 연 3.45%로 올해 5월 초 연 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신한은행도 1년 만기 '월복리정기예금' 최고 금리를 연 3.6%로 종전보다 0.1%포인트 인하했다.

국민과 하나, 기업, 농협 등의 다른 은행들도 18일 자체 금리 조정 회의를 열어 정기예금 금리를 추가로 내리기로 했다.

국민은행의 1년 만기 '슈퍼정기예금'의 금리는 올해 1월 연 4.55%에서 현재 3.5%로 떨어졌으며 하나은행의 '369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도 연 3.4~3.5% 수준이다.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내리는 것은 한은 금통위가 시장 예상과 달리 기준금리를 3개월째 2.25%로 동결 결정을 내리자 시장금리가 급락한 데 따른 것이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 14일 3.08%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금융계 안팎에서는 일본의 `제로 금리'에 맞먹는 초저금리 현상이 장기화하면 해외 단기자금 유입에 따른 자산버블(거품) 심화와 인플레이션 압력 고조, 가계부채 급증 등의 후유증이 생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한은이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 조절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경제연구소 권순우 거시경제실장은 "금통위는 인플레이션과 자산버블 등의 압력이 크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증시 등으로 자금이 대거 유입되면 과열이 발생하고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며 "점차 경기와 물가, 환율 등의 흐름을 보면서 금리인상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