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식품 소금함유량 강제 규제하면 효과 20배"
상태바
"식품 소금함유량 강제 규제하면 효과 20배"
  • 온라인뉴스팀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11.02 11: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금 과다섭취로 인한 심장 질환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품의 소금 함유량 수준을 제조업체에 `권장사항'으로 맡겨둘 게 아니라 정부가 나서서 강제적으로 규제하는 게 훨씬 효과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연합뉴스가 AFP통신을 인용, 보도했다.

   호주 연구팀이 2일 영국 의학저널 `하트'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품업체가 자율적으로 소금 함유량을 줄이도록 할 경우 심장 질환, 뇌졸중 발병률은 약 1% 감소하는 데 비해 정부가 강제 규제할 때는 18% 감소한다.

   개개인이 알아서 소금 섭취량을 줄이도록 할 경우에는 가장 효과가 작아 단 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린다 코비악 호주 퀸스랜드대 인구건강학부 교수는 "식품 소금 햠유량을 업체가 자발적으로 줄이는 데 의존한다면 약간의 효과를 볼 수는 있겠지만 그것을 강제할 경우 효과는 약 20배나 더 크다"고 말했다.

   코비악 교수는 호주의 남성 94%, 여성 64%가 권장량보다 더 많이 소금을 섭취하고 미국인도 열의 아홉은 과다 섭취하고 있다면서 이는 혈압을 높일 뿐아니라 뇌졸중, 심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도 높인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소금을 너무 많이 먹고 있는 상황에서는 정부가 나서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식품의 소금 함유량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정부에도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다 준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에서 강제 규제할 경우 현재의 1일 섭취 최대 권장량 6g보다 더 낮춰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권고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