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그룹은 인수 가격으로 약 5조5천억원을 써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보다 4천억원 적은 5조1천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의 현대건설 매각 제한 지분(34.88%)은 외환은행(8.72%), 정책금융공사(7.84%), 우리은행(7.46%), 국민은행(3.56%), 신한은행(2.87%), 농협(2.19%), 하나은행(1.42%) 등의 순으로 나눠 갖고 있다. 이들 은행의 현대건설 지분 취득 평균 단가는 주당 2만원 가량이다.
채권단이 현대그룹이 제시한 대로 약 5조5천억원(주당 약 14만1천원)에 현대건설을 매각한다면 차익은 약 4조7천200억원에 달한다.
은행별로는 외환은행이 1조1천800억원, 정책금융공사 1조615억원, 우리은행 1조94억원, 국민은행 4천817억원, 신한은행 3천883억원, 농협 2천964억원, 하나은행 1천918억원 등이다.
채권단은 이달 중 현대그룹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내년 1분기까지 모든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