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현대그룹 현대건설 인수자금의 1.2조원 의혹
상태바
현대그룹 현대건설 인수자금의 1.2조원 의혹
  • 양우람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11.22 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가의 적통성을 놓고 벌이는 싸움이라며 세간의 이목을 끌어왔던 현대건설 인수전이 결국 현대그룹의 판정승으로 일단락됐다.

하지만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인수금이 투입되고 내부 심사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채권단의 배만 불린 ‘그들만의 리그’였다는 뒷말이 흘러나오고 있다.


당초 업계는 현대건설의 기업 순가치를 4조원 가량으로 보고 이를 크게 상회하지 않는 수준에서 인수 가격이 결정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막강 계열사를 통한 현금 확보 능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현대건설을 거머쥘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반면 현대그룹의 경우 주력사인 현대상선과 현대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계열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을 통해 1조9000억원 가량을 마련했고 동양종금증권을 투자자로 끌어들여 7000억원을 겨우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입찰을 앞두고는 컨소시엄 구성이 유력했던 독일계 투자사 M+W 그룹이 발을 돌려 자금 조달 문제로 현대그룹이 인수전에서 이탈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들려왔다.


하지만 막상 뚜껑이 열리자 결과는 일반의 예상과는 반대로 나왔다.

현대그룹은 최종 입찰제안서에 현대자동차 보다 4천억원 가량이 앞선 5조5천1백억을 제시했고 이점이 가점요인으로 작용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업계에선 과다 경쟁으로 인수가가 지나치게 부풀려졌다는 점과 외부 투자 비율이 필요이상으로 높다는 점에서 이를 지난 2006년 금호아시아나의 대우건설 인수전과 오버래핑해 바라보고 있다.

금호아시아나는 결국 투자자에 대한 풋백옵션 실행에 발목이 묶여 만 3년 만에 대우건설을 산업은행 측에 재매각 하기로 결정했었다. 


채권단의 결정으로 현대건설은 새 주인을 맞고 현대그룹은 숙원을 이루게 됐지만 내외적으로 많은 이들이 이 사실을 달갑게만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비록 다시 안정세를 찾긴 했지만 이번 인수전에서 현대그룹의 손이 올라 간 순간 관련주가 일제히 하향세를 탄 것도 투자자들의 이러한 우려심리가 작동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현대건설 채권단이 의도적으로 가격 부풀리기에 나섰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인수전이 전개되는 동안 컨소시엄 파기 등 탈락 요인이 생기자 비가격적 요소를 강조한 점, 현대상선 지분 문제가 경영권이 달린 문제로 언론에 확대 보도된 점 등이 이러한 해석을 낳고 있다. 


현대건설 노조는 현대그룹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직후 주요 일간지에 광고를 내고 채권단에 상세 심사 내역을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채권단이 ‘돈의 논리’를 우선시 했다는 점은 감안하더라도 경영권을 넘겨주며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들을 제대로 살펴봤는지 확인해야 겠다는 것이다. 


양측의 양해각서체결 시한인 이달 말까지 채권단으로부터 답변이 없다면 실사 거부 등 인수과정에 필요한 절차에 협력하지 않겠다는 것이 현대건설 노조의 입장이다.


나아가 현대그룹이 인수자금으로 제시한 프랑스 나티시스 은행 예치금 1조 2000억이 실제로 존재하느냐를 놓고 채권단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려 액수에 현혹돼 당장 도장부터 찍은 게 아니냐는 말들도 나오고 있다.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프랑스 법인의 예치금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총자산 33억의 법인이 이와 같은 거대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주장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만약 채권단이 스스로 밝혔듯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면 노조의 요구대로 구체적인 심사 내역을 공개하는 것이 순리이다.


이는 항간에 떠도는 가격 부풀리기나 부실검증의 의혹을 스스로 씻어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걸린 현대건설 종사자들의 불안감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도, 또 이번 인수과정을 관심 있게 지켜본 국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채권단 스스로가 나서야 한다.


현대그룹 역시 채권단과 현대그룹 사이의 잡음이 자신들의 불분명한 재무구조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하루 빨리 안개를 걷어 줄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