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정관수술 후 확진받아야 실패 보상
상태바
정관수술 후 확진받아야 실패 보상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0.12.06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안산의 임 모(남.42세)씨는 비뇨기과에서 피임을 목적으로 정관수술을 받았는데 별안간 아내의 임신소식을 접하고 속앓이만 했다고 털어놨다.

알고보니 정관수술을 받고 2~3개월 뒤 정액검사를 해야 하지만, 이를 받지 않은 것이 화근이었다. 임 씨는 수술 이후 피임을 하지 않아도 아내가 임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수술에 성공했던 것으로 지레 짐작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임 씨는 지난 8월 아내가 임신을 하게 되면서 불륜인지 의심하게 되는 등 웃지못할 일을 겪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임 씨 부부는 서로에 대한 신뢰가 떨어져 관계가 악화됐다.

임 씨는 "정액검사를 받지 않은 것은 내 잘못이지만, 원천적으로 수술이 실패했기 때문에 나와 아내가 받은 정신적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고 병원비도 만만치 않게 들어갔다"고 강조했다.

이런 경우 정관수술 후 정액검사 결과 얼마나 정자가 배출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계에 따르면 정관수술을 받은 환자 1천명 중 1명꼴로 실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일반 비뇨기과 뿐만 아니라 대학병원에서도 종종 있는 일이라고 한다. 무엇보다도 정관수술을 받고 2~3개월 후에 정액검사를 통해 정자가 나오는지 확진이 필요한데도 임 씨가 찾아오지 않았던 것이 후폭풍을 몰고 온 셈이었다.

전문가들은 정관수술을 받고 2~3개월간 피임을 한 뒤 정액검사를 통해 정자가 얼마나 배출됐는지에 따라 성공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만약 정액검사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의료기관이 전적으로 책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