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보지도 듣지도 말아야 할 불법금융광고 10가지
상태바
보지도 듣지도 말아야 할 불법금융광고 10가지
  • 임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11.30 1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감독원은 30일 소비자가 쉽게 속는 금융광고를 정리해 '보지도, 듣지도 말아야 할 불법 금융광고 10가지 유형'을 소개했다.

금감원은 은행이 아닌데도 '마이너스 통장 대출' '신용카드 발급' '신용카드 이용 한도 증액' 등으로 유인하는 문구는 십중팔구 허위.과장광고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캐피털', '○○금융' 명의로 저금리나 무방문 대출이 가능하다고 광고하는 것도 상호를 도용한 불법 광고일 가능성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대출가능' '신용카드 결제대금 대납, 신용카드 할부대출, 연체 대납' 등은 휴대전화의 소액결제 기능을 이용해 고금리 대출을 하는 '카드깡'의 대표적인 유인 문구다.

인터넷상에서 개인정보나 예금통장, 현금카드를 매매하는 것은 금융사기 등 각종 범죄에 이용될 우려가 다분하고, '원금보장.확정수익.고수익 보장' 등 문구는 투자자를 모집한 뒤 잠적해버리는 유사수신행위일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인 '햇살론, 미소금융, 희망홀씨' 이름을 도용하거나 유사명칭을 사용하는지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당국의 인가를 받지 않았는데도 금융투자업.대부업을 영위하거나 신용카드 회원을 모집하는 경우도 불법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수수료를 내면 당신의 신용등급을 올려 대출해 드립니다', '대출을 받고 싶으면 현금.체크카드를 보내세요'라는 문구도 불법 대출 중개수수료를 챙기거나 현금카드를 편취하기 위한 불법 광고의 전형이다.

금감원은 긴급자금이 필요하면 `서민금융119서비스(s119.fss.or.kr)'의 서민대출 안내코너나 한국 이지론(☎ 02-3771-1119)을 통해 대출상품을 먼저 알아본 뒤 해당 금융사를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해 상담하는 것이 금융범죄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