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이사로 인터넷 이전 불가능?..그래도 위약금 내놔"
상태바
"이사로 인터넷 이전 불가능?..그래도 위약금 내놔"
  • 박윤아 기자 ya321@csnews.co.kr
  • 승인 2011.04.11 08:1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넷 이전 설치 문제로 소비자가 곤경에 처했다.

거주지 변경으로 인해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계약해지가 불가피한 상황임에도 이를 입증할 방법이 명확치 않아 위약금을 물어야 하기 때문.

 

11일 서울 내발산동에 사는 주 모(남.38세)씨에 따르면 그는 작년 3월10일 LG텔레콤(현.LG유플러스)의 'XPEED100' 서비스를 3년 약정으로 계약했다.

약 1년 후인 지난달 12일, 행운동에서 내발산동으로 이사를 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집이 망가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집주인의 반대에 부딪혀 LG 인터넷 전용선 설치를 할 수 없게 된 것.

이미 KT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라 집주인을 설득하기 어려웠던 주 씨는 LG유플러스 측에 불가피한 사정을 알리고 위약금 면제을 요청했다. 하지만 고객센터 상담원으 “건물주 반대로 인한 해지의 경우 위약금을 내야 한다”며 답했다.

 

주 씨는 “이사 5일 전에 인터넷 이전신청을 한 기록도 남아있다. 인터넷 전용선 설치가 되면 쓸 의사가 분명하다"고 단순변심으로 인한 해지가 아님을 강조했지만 “계약이행 책임을 저버린 것은 우리가 아니다”라며 업체 측 역시 강경한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실랑이 끝에 고객센터 측이 제시한 '위약금 50% 면제'라는 타협안을 주 씨가 수락하지 않자 “해지가 되지 않으면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기간동안 요금이 정상 청구된다”고 설명해 화를 돋웠다.

 

주 씨는 집주인 반대 의사를 해결할 수 있는 설치 방법 등을 모색할 뜻은 없이 무조건 위약금을 내고 계약해지 할 것만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집주인의 거부로 설치를 할 수 없는 부분은 소비자와 집주인이 타협할 문제”라며 “앞으로도 이와 유사한 사례에 대해 규정을 개선하거나 위약금을 면제해 줄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가입시 사은품 증정 등 사업상 문제를 짚어 “위면해지에 관한 규정 변경 시 이를 악용할 우려가 적지 않다”며 “이런 경우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부분을 기업 입장에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현재 인터넷 약정 고객이 이사 후 계약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피해 구제책이 마땅히 없는 실정이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고시된 ‘계속 거래 등의 해지 등에 따른 위약금 및 대금의 환급에 관한 산정기준’에 따르면 계약이 사업자의 귀책사유 없이 해지되는 경우 사업자에게 위약금 면제를 요구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박윤아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과묵한그 2011-04-11 15:57:43
LG유플러스의 답변
위 기사의 나오는 주모씨입니다. LG측에서 답변을 보내와 올립니다. LG의 답변과 제 반박글 내용이 길어 제가 트위터에 올린 글을 링크시킵니다. http://www.twitlonger.com/show/9peeu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