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리베이트 조사 칼바람에 제약사들 '자라목'
상태바
리베이트 조사 칼바람에 제약사들 '자라목'
  • 양우람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04.15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리베이트 쌍벌죄 도입 이후 처음으로 범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단속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약업계와 의료계가 모델케이스로 적발당할 수있다는 우려에 잔뜩 움추려 들고 있다.  

특히 그동안 관행처럼 의약품 처방에 대한 댓가를 제공해 오던 상당수의 제약사들은 일제히 숨을 죽이고 수사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약업계는 공보의를 포함한 1000명 이상의 의사와 다수의 제약사가 연류된 울산발 리베이트 적발 소식이 전해지자 큰 충격에 빠져들었다.

지금까지의 리베이트 수사는 세무조사 등을 통해 혐의가 포착된 제약사 등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진행돼 왔지만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저인망식 수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수사를 담당한 울산경찰청은 지역내 의원급 이상 주요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제약사와의 의약품 거래 장부를 확인하는 식으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분위기가 경색되자  다수의 제약사들은 혹여 단속의 불똥이 자신들에게 튈새라 서둘러 내부 단속에 들어갔다.   

A 제약사 영업사원은 “내부 보안 단속이 강화되면서 최근 단속될 경우 대응하는 요령까지 교육을 받았다”면서 “병원이나 의사들도 혹시나 하는 생각에 영업사원의 방문 자체를 꺼려해 업무에 지장이 많다”고 말했다.

B 제약사 영업사원은 “주말 골프 접대는 물론 간단한 식사 대접도 꺼려하는 분위기”라며 “거래 내역도 문서나 파일로 보관하지 말라고 해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 12일엔 병원 영업을 담당하는 한 제약사 직원이 불심검문까지 당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부 제약사들은 영업사원에 대한 일비 지급을 중단하고 일시적으로 거래처 방문 조차 삼가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제약사들은 당장 기존의 영업 방식을 대신할 만한 대처 방안이 없어  대대적인 단속의 칼날이 가라앉을 때까지 당분간 숨고르기에 돌입한 상황이다.

제약 업계는 이번 단속이 어느정도 예고된 상황이었지만 조사의 범위와 강도가 예상을 넘어선 것이라서 당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 곳곳에선 이번 조사 방식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C 제약 관계자는 “제품설명회까지 리베이트라며 단속 대상에 포함시키면 모든 제약사가 걸려 들 것”이라며 “불심검문에 이잡듯이 솎아내면 산업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이번 전방위적 단속이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가격인하를 추진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리베이트 제약사들을 다수 적발해 약이 실제보다 비싸게 팔린다는 여론을 조성한다는 것.

이를 통해 향후 업체들의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자발적인 가격인하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라는 추정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5일 서울중앙지검에 검경은 물론 관련 기관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의사-제약사 리베이트 수사 전담반을 꾸렸다. 약사와 도매업체 사이의 리베이트는 복지부와 식약청이 맡고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양우람 기자]

▲ 이동욱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 기자실에서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정부 합동 단속이 시작된다고 공표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