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전산망 마비 등 대형 금융사고가 잇따르면서 금융권이 IT보안 강화에 나서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농협 사태의 원인 중 하나가 노트북을 통한 USB 접속으로 알려지자 전 행원에 USB 사용을 자제시켰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단말기에서 USB로 쓰기 기능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했다"며 "불가피하게 사용할 일이 생기면 부서장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또 모든 주요서버에 아이디(ID)와 비밀번호뿐 아니라 일회용 비밀번호(OTP) 발생기 인증을 거쳐야만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IT 보안 예산과 인력을 늘리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은행은 IT 보안예산과 인력을 금융당국의 권고에 맞게 늘렸으며, 신한은행도 보안정책 개선 및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보안 담당자의 교육을 확대해 인적 역량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농협 사태가 터지자 외부기관에 의뢰해 보안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IT보안 조직을 별도로 운영 중인 국민은행은 최근 민병덕 행장이 IT 관련 부서를 확대하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볼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