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해설>공기업 해외 유학 보내고 상여금도 주기 실태
상태바
<해설>공기업 해외 유학 보내고 상여금도 주기 실태
근무 안 했는데도 기본급 외에 인센티브 상여금
  • 백상진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07.02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기업들의 해외 연수.유학 규모와 조건은 일반적인 사기업에 비해서는 파격적인 수준이다.

공기업들은 많게는 직원 수백 명을 해외 시찰이나 체험을 위해 해외에 보내고 있으며 수십 명의 직원을 2∼3년간 해외 석사.박사 학위 과정에 보내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석박사 학위 취득까지 학비.체재비를 지원하면서 급여도 근무 당시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하는 것은 문제라는 시각이 있다. 공기업에는 직간접적으로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만큼 국민이 공기업 직원들의 석박사 과정까지 지원한다는 논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 대형 공기업은 해외 연수 규모를 파악하는 것조차 힘들다고 밝히는가 하면, 일부 금융공기업은 언론에 관련 자료 공개하는 것을 거부하는 등 공기업들의 유학.연수가 불투명하고 은밀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관광성 해외 단기연수 많아
공기업들의 해외 단기연수는 5∼10일 가량으로, 여행코스에 유관시설 방문 등의 일정이 있으나 사실상 관광 성격이 짙고 그 인원도 상당히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물론, 해외를 둘러보는 것 자체가 업무와의 연관성이 없더라도 견문을 넓힌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기업 고참사원의 경우 연봉이 1억원을 훌쩍 넘는 상황에서 수백만 원의 여행경비를 지원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상당수 공기업들의 단기 해외연수자 선발에 노조가 개입하고 있는 것도 단기연수가 복리후생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구체적 사례를 보면, 한국마사회는 보통 7월 안팎으로 노사합동연수 40명, 선진경마연수 25명 등 모두 65명을 대상으로 해외여행을 실시한다. 이들 여행 모두 해외 경마산업 시설과 선진경마 운영시스템을 견학한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사합동연수 대상자는 노조활동 참여 여부 등을 기준으로 노조가 결정한다. 선진경마연수는 30년 이상 장기근속자 중 해외 연수기회가 없는 사람들이 해당된다.

조폐공사는 올해 노사한마음 연수 26명, 관리자.실무자 연수 20명, 경영평가 유공자연수 15명 등 61명을 대상으로 단기연수를 실시한다. 노사한마음연수 대상자는 노사가 공동으로 결정한다고 공사 측은 말했다.

가스공사의 경우, 올해 이미 56명이 단기연수를 다녀왔다.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 가운데 노조와 공사가 공동으로 선발한다. 해외 관련기관 방문 등으로 견문을 넓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고 공사측은 설명했다.

농수산물유통공사 관계자는 "올해 30명 가량이 7박8일 정도의 해외 배낭여행에 다녀온다"면서 "시기.여행지 등은 여행자들 스스로 결정하며 회사 지원액은 1인당 200만원이며 초과하는 금액은 자기가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전력 측은 해외 여행의 경우 부서별로 각각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 전체 차원에서 몇 명에 이르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한전 관계자는 "해외 여행을 떠나는 퇴직예정자만 수백 명에 이른다"고 전했다.


◇ 전통적 공기업도 유학 많아
전통적 공기업들도 직원들을 해외로 유학 보내고 있다.

이들 공기업은 해외유학 직원들에게 학비와 체재비 등으로 1년에 5천만원 안팎을 제공하고 있다. 물론, 시간외 수당 등을 제외한 기본급.상여금 등도 국내 근무 당시와 마찬가지로 거의 그대로 주고 있다. 유학기간에 호봉 상승이 정지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

가스공사는 해외 석사과정에 17명을 보내고 있으며 학비와 체재비를 회사부담으로 해결해준다. 유학중에 급여로 기본급과 상여금을 주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일단, 해외에서 공부하는 것 자체가 큰 혜택에 해당된다"면서 "박사급을 지원하는 것은 지나친 투자에 해당된다고 판단, 시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력의 경우 석사과정 5명, 박사과정 1명, 경영자과정 22명 등 모두 26명이 해외에서 유학을 하면서 학비.체재비.기본급.상여금 등을 받고 있다. 경영자과정은 경영후계자 육성을 위한 핵심교육 과정이라고 한국전력 측은 설명했다.

대한광업진흥공사는 직원 352명 가운데 해외에서 유학중인 사람은 박사과정 7명, 석사과정 1명 등 8명이라고 밝혔다. 학비는 전액 해결해주고 체재비(미국) 지원액은 월 2천145달러 기준으로 1년차 전액, 2년차.3년차 각 90% 수준이다. 물론 기본급과 상여금 모두 준다.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해외 석박사 과정에 있는 8명에게 학비 외에 월 체재비 2천달러와 의료보조비 월 220달러를 주고 있다"면서 "기본급과 함께 직원 평균 수준으로 인센티브 상여금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이 공사 직원들은 해외 유학기간의 2배 정도를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하며 이를 어기고 공사를 떠난다면 그동안 학위과정에서 지원받은 금액을 모두 환불해야 한다.

반면, 산재의료관리원은 2년간 무급휴직을 전제로 6명에게 해외 유학을 인정하고 있다. 산재의료원 관계자는 "해외유학은 자기계발 성격이 강하므로 체재비나 급여비를 안준다"고 말했다.


◇ 금융분야 공기업들 상대적으로 유학 많아
현재 한국은행 직원 40명, 산업은행 직원 27명이 각각 해외에서 유학과정을 밟고 있다. 기업은행은 작년에 42명이 해외 유학을 떠났다.

한은은 작년에 해외연수자는 120명이었고 해외유학 후보자로 20명을 선발했다고 전했다. 해외연수는 7일 안팎의 단기연수로 평균적으로 매일 2.3명이 연수에 참가하는 것으로 계산된다고 밝혔다.

한은 관계자는 "해외유학은 경제학.경영학.법학 등 업무발전에 필요한 능력향상을 위해 대학원 등에서 실시하는 석사과정 연수"라면서 "선발은 근무성적, 부서 추천순위, 외국어 능력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산업은행도 현재 21명이 해외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14명이 한국과학기술원과 한국개발연구원 등의 학위과정에서 공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국민연금 직원 10명이 해외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금융감독원.수출보험공사.예금보험공사 등도 해외 석사학위 과정에 직원들을 보내놓고 있다.

반면, 수출입은행은 "감사원 감사를 받고 있는 상태여서 해외 유학인원 등을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수출입은행의 해외 유학.연수 규모와 조건 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른 공기업 관계자는 "수출입은행은 감사원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관련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측면도 있는 것같다"고 말했다.

한편, 일반 사기업의 한 관계자는 "공기업들의 연수나 유학이 활발한 것은 그야말로 `공기업'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면서 "일반 사기업이 직원들에게 학비와 체재비, 월급을 주면서 석박사 학위과정을 밟도록 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