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보험 '아줌마부대'는 옛말…'아저씨' 맹활약
상태바
보험 '아줌마부대'는 옛말…'아저씨' 맹활약
생보사 설계사 5명중 1명 남성…월평균 소득 488만원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07.06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 영업 무대에서 남성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3월 말 현재 보험설계사는 20만5천명(생명보험 13만2천명, 손해보험 7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설계사는 외환위기 전인 1997년 3월 말 44만명을 정점으로 구조조정과 방카슈랑스 도입, 홈쇼핑의 보험 판매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중소형 생보사와 대형 손보사가 영업 확대를 위해 설계사를 증원하면서 10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생보사들이 재무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남성의 채용을 늘리면서 여성의 비중이 급속히 작아졌다.

3월 말 현재 생보사들의 남성 설계사는 2만6천396명으로 전체의 20%를 차지해 5명 중 1명꼴이었다.

남성 비중은 2002년 3월 말 9.1%에서 2004년 3월 말 13.5%, 2005년 3월 말 15.3%, 2006년 3월 말 16.3%로 매년 커지고 있다.

2006 회계연도 생.손보사 설계사의 월 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22만원 증가한 292만원으로 300만원에 육박했고 보험 대리점의 월 평균 소득은 519만원으로 처음으로 500만원을 넘어섰다.

생보사 설계사의 월 평균 소득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88만원으로 여성 327만원을 크게 웃돌았으며 외국사의 남성 설계사는 592만원으로 600만원에 다가섰다.

반면 손보사 설계사의 월 평균 소득은 남성 151만원, 여성 201만원으로 생보사에 크게 못미쳤다.

지난해 보험사들이 상품을 제대로 팔아 관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계약 유지율은 13회차(1년 이상)가 80.9%, 25회차(2년 이상)가 67.7%로 전년보다 1.6%포인트, 2%포인트 상승했다.

생보사의 경우 설계사나 대리점 등이 고객을 만나 판매하는 대면 채널의 13회차 계약 유지율이 88.2%로 홈쇼핑이나 텔레마케팅 등 비대면 채널 68.5%보다 높았다.

손.생보사 설계사의 13월차 정착률(신규 등록한 설계사 가운데 1년 이상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설계사의 비율)은 41.3%로 3.6%포인트 높아졌지만 10명 중 6명은 1년을 못 버티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박흥찬 조직영업감독팀장은 "외국계 생보사를 중심으로 남성 설계사 위주의 영업 전략을 펴면서 설계사도 전문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이들 남성 설계사의 소득도 국내사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