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UCC 이용자 과반수가 UCC로 불편.피해"
상태바
"UCC 이용자 과반수가 UCC로 불편.피해"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07.08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CC(손수제작물) 이용자 과반수가 UCC 이용 및 제작과 관련해 불편이나 피해를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8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펴낸 `2007년 상반기 인터넷이슈 심층조사: UCC 이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5~49세 UCC 이용ㆍ생산자 1천476명 중 56.2%는 UCC를 이용하면서 본인 UCC의 무단도용,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 부정확한 정보 유통, 언어폭력 및 모욕 등 불편이나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과 부정확한 정보 유통으로 인한 불편이나 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나란히 34.0%로 가장 많았으며, 언어폭력 및 모욕을 겪었다는 응답자도 28.8%에 달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43.3%는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이유로는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했다는 경우가 33.8%, 대응방법을 몰랐다는 경우가 22.4%, 항의나 신고를 해도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았다는 경우가 22.4%로 집계됐다.

조사대상자들은 이 같은 상황의 배경으로 UCC가 일상 생활 전반에 확산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로 UCC를 이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조사대상자 중 36.6%는 TV시청 시간이, 35.1%는 라디오 청취 시간이 줄어들었다고 답했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이 증가했다는 경우는 45.7%에 달했다.

이들은 UCC의 확산이 일반인의 정치적 의견 표현 등 참여의 기회 확대(63.9%), 인터넷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시장 형성을 통한 경제적 효과 증대(60.4%) 등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럼에도 근거없는 소문 생성 및 확산으로 인한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62.4%), 미확인 사실 및 상업적ㆍ악의적ㆍ불법 정보 등 증가로 인한 인터넷 정보의 신뢰성 저하(61.2%) 등의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 또한 긍정적인 영향 못지 않게 컸다.

향후 UCC 전망과 관련해서는 조사대상자의 92.2%가 향후 타인의 UCC를 보거나 이용할 의향이 있으며, 71.4%가 본인의 UCC를 생산할 것이라고 답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로는 타인 UCC에 대한 저작권 보호 의식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3.9%로 가장 높았으며, 본인 UCC에 대한 책임 의식이 필요하다는 경우도 73.6%로 나타났다.

정부 차원 대책으로는 73.2%가 관련 법제도의 정비 및 홍보를 꼽았으며, 66.4%가 불법ㆍ유해 UCC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강화 및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UCC의 양적인 확산과 동시에 역기능을 해소하고 바람직한 UCC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 각계와 이용자 스스로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