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디자인 컨셉을 강조한 휴대폰은 기능대비 상당한 고가의 가격에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반면 고기능의 휴대폰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다.
고기능의 제품일수록 가격이 비싼 것이 일반적. 그러나 이젠 휴대폰도 소위 알맹이보다 예쁘게 포장된 껍데기가 더 대접을 받고 있다. 디자인이 휴대폰의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소로 떠오른 것이다.
LG전자는 기능보다는 디자인 컨셉을 강조한 프라다폰을 88만원이라는 초고가에 출시한데 이어 최고 사양의 지상파 DMB HSDPA폰(모델명 LG-KH1400)을 내놓았다.
이 제품의 출시가격은 58만원. LG전자가 내놓은 제품 가운데, 기능면에서는 최고 사양의 제품이다. 그러나 출시 가격은 별다른 기능 없이 디자인 컨셉을 강조한 LG전자의 초콜릿폰이나 샤인폰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LG-KH1400’은 국내 3세대(G)폰 중 최초로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해 지상파 DMB 시청이 가능하다. 영상통화는 물론 200만 화소급의 카메라, 문자 송ㆍ수신 시 방송된 내용을 저장해 이어서 볼 수 있는 타임머신기능까지 있다.
삼성전자도 디자인을 강조한 제품에 비해 고기능 단말기의 출시 가격은 크게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슬림한 디자인 컨셉을 강조한 삼성전자의 미니스커트폰. 그 흔한 DMB기능도 없고, 130만화소의 카메라를 장착했다. 그러나 출시 가격은 55만원대로 삼성전자가 비슷한 시기에 선보인 영상통화가 가능한 슬림폴더 HSDPA폰(모델명 SPH-W2700) 보다도 비싸다.
특히 삼성전자의 고기능폰의 출시 가격 하락 경향은 뚜렷하다. 가격은 싸졌지만 기능면에서는 오히려 더 많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최근 시판에 들어가는 ‘UCC폰’(SCH-B750)'폰. 동영상 촬용 편집기능에다, 300만화소 디지털 카메라, 위성DMB, 블루투스 등 웬만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다 지원한다. 출시 가격은 64만9000원대.
HSDPA 화상통화 지원 지상파 DMB (모델명 SPH-W2400)은 63만원대다. 고가의 가격이지만 삼성전자가 처음 선보인 DMB폰 가격이 당시 85만원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가격이 많이 내린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휴대폰 제조 기술이 평준화하면서 업체들이 기능보다는 디자인에서 가격 차별화 요소를 찾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헤럴드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