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태나 주립대학의 데이비드 워드 교수는 "식물들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 빛을 에너지로 바꾸는 것처럼 일부 박테리아도 그런 작용을 하지만 새로 발견된 박테리아 칸디다투스 클로라시도박테리움 서모필럼(Candidatus Chloracidobacterium thermophilum)은 각 부위의 배열이 다른 박테리아들과는 판이하며 기이하고 새로운 형태의 광합성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버섯 온천과 낙지 온천, 녹색손가락 연못 등 세 개의 온천에서 발견된 이 박테리아는 50~66℃의 수온에서 다른 박테리아 및 청록색 조류와 함께 살고 있으며 클로로좀이라 불리는 채광 안테나들을 갖고 있다.
클로로좀에는 각각 25만개의 엽록소가 들어 있는데 호기성(好氣性) 미생물로서 클로로좀을 갖고 있는 것이 발견되기는 처음이다.
C.서모필럼은 두 종류의 엽록소를 만들어내며 엽록소들은 박테리아가 다른 미생물들이 수면에 켜를 이루는 곳에서도 왕성하게 번식하면서 빛을 얻도록 해 준다.
연구진은 새 미생물의 유전자 염기서열로 미루어 이들은 옐로스톤의 매머드 온천과 티베트 및 태국의 온천들에서 발견되는 C.서모필럼과 가장 가까운 종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워드 교수는 미생물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채취할 수 있었는 지 탐색하는 광합성의 역사 연구에서 새 미생물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지구상에 화석 연료가 점점 떨어져 가고 있는 오늘날 빛에너지를 더 많이 채취한다는 것은 그만큼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옐로스톤은 여러 종류의 호열성 박테리아들이 온천 수면을 덮어 노랑과 주황, 빨강, 갈색, 초록 등 다양한 색깔을 내는 곳으로 과학자들은 생물공학이나 의학용으로 새로운 유기물을 찾기 위해 지난 수십년 동안 이 곳의 온천들을 조사해 왔다.
새 미생물이 발견된 온천에서는 이전에 서머스 어퀘이티커스(Thermus aquaticus)란 신종 미생물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 미생물은 시험용이나 연구용으로 유전자 물질을 증식시키는데 사용되는 PCR(폴리머라제 연쇄반응)을 일정한 속도로 유발하는데 불가결한 존재이다.
엽록소를 만드는 미생물들은 이 밖에도 더러 있지만 새로 발견된 C.서모필럼은 지금까지 알려진 미생물과는 판이한 것이라고 학자들은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