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5일 `소비 회복력 약화의 원인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올해 초 빠른 회복세를 나타냈던 소비 부문이 최근 회복력이 크게 약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올해 2.4분기 경제성장률은 1.4분기의 4.0%보다 0.9%포인트 높은 4.9%를 기록하고 있지만 민간소비 증가율은 1.4분기와 같은 4.1% 수준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민간소비를 부문별로 봐도 내구재 소비증가율은 1.4분기 17.0%에서 2.4분기 14.3%로 둔화됐고, 특히 비내구재 소비는 1.4분기에 2.1% 늘어났지만 2.4분기에는 0.9%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
주 원 연구위원은 "민간소비는 지난해 현재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3.5%,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이 42.0%에 달하기 때문에 비록 투자나 수출 호조에 의해 경기회복이 촉발될 수는 있어도 이후 소비확장세가 동반되지 않을 경우 경기회복의 지속은 보장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소비회복세가 약화된 이유로 고용부진과 근로소득의 확충 미흡, 가계부채 문제 지속으로 인한 유동성 제약, 국내 소비구매력의 해외유출 확대 등을 꼽았다.
고소득층의 소비는 늘어나는 반면, 저소득층의 소비는 줄어드는 등 소비지출의 계층간 파급효과가 미약하다는 점, 주가는 급등했지만, 증시에 자금이 유입되는 단계이지 시세차익을 실현한 뒤 유출되는 단계는 아니라는 점 등도 소비회복세를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구원은 정부가 소비 회복력 약화 문제를 해소하고 경기회복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용시장 회복에 주력하면서 가계부채 문제를 연착륙시켜 소비기반을 확충하고, 중저소득층의 소비여력 확충을 위해 생필품에 대한 부가세 감면과 같은 대책을 마련하고, 관광.교육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구매력의 해외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