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삼성·현대차그룹, 500대기업 순이익 57% 차지
상태바
삼성·현대차그룹, 500대기업 순이익 57% 차지
'대마독식'심화…30대 그룹 회사 빼면 대부분 적자
  • 유성용 기자 soom2yong@csnews.co.kr
  • 승인 2013.05.31 0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국내 산업계에 '대마독식'(大馬獨食)구조가 심화되고 있다. 삼성과 현대기아차 그룹이 500대 기업 총 순이익의 57%, 영업이익의 44%씩을 점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재벌 및 CEO,기업경영평가 사이트(대표 박주근)가 최근 집계한 2012년도 결산자료를 토대로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이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30대 대기업 그룹 계열사들이 차지하는 수는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6%, 영업이익 비중은 70%에 달해 재벌그룹으로의 부의 쏠림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대 그룹을 빼면 거의 '속빈 강정', 10대 그룹을 빼면 '빈껍데기' 수준으로 드러났다.

순이익을 보면 삼성, 현대기아차 그룹 등 2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이 57%로 집계됐다. SK. LG. 롯데를 포함한 5대그룹의 비중은 66.2%로 나타났다. 10대 그룹의 비중은 72.5%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도 마찬가지다. 삼성, 현대기아차의 비중이 44.4%로 나타났고 5대그룹의 비중은 55.2%, 10대그룹 비중은 62.5%다.

11~30위 그룹의 순익 비중은 3.3%, 영업이익 비중은 6.8%에 그쳤다. 그 이하 그룹은 상당수가 적자 전환을 했거나 이익률이 미미한 헛장사를 했다.

30대 그룹 계열사 수는 204개로 2011년에 비해 3개 늘었다.

이들 기업이 올린 총 매출은 1천684조원으로 전년의 1천539조원에 비해 9.4% 늘었다.

500대기업 전체 매출 총액이 2천504조원으로 전년보다 7.3% 증가한 것과 비교, 30대그룹 계열사들의 매출성장률이 크게 높았다.


영업이익 증가율도 30대 재벌 계열사들이 전체 500대 기업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500대 기업의 총 영업이익은 138조원으로 전년(145조원)대비 4.8% 감소한 것과는 달리 30대 그룹 계열사들은 95조원에서 96조원으로 되레 소폭 늘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도 500대기업 총액이 98조원으로 전년 107조원 대비 8.4% 뒷걸음질 쳤다.

30대 재벌 계열사들은 75조원에서 74조원으로 1.3% 빠지는데 그쳤다.

덩치나 수익성 면에서 재벌 계열사들의 경영성과가 크게 높은 셈이다.

이에 따라 500대기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재벌 계열사들의 비중도 크게 높아졌다.

매출 총액은 67.2%,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은 각각 69.3%와 75.8%를 차지했다.

2011년 대비 매출 총액 비중은 1.3%포인트 상승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비중은 각각 4%포인트, 5.1%포인트나 높아졌다.

회사 수로는 전체의 절반에도 크게 미치지 못 하지만 수익(당기순이익 기준)의 76%는 30대 그룹 재벌 몫이었던 셈이다.

대기업 그룹별로는 역시 삼성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위세가 돋보였다.

삼성그룹은 500대기업 내에 가장 많은 25개사가 포함되면서 500대그룹 총매출액의 15%인 375조원을 차지했다. 현대차그룹 역시 21개사가 포함돼 전체의 9.7%인 242조원을 기록했다.

두 재벌그룹은 지난해 대부분의 그룹들이 500대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는데도 반대로 비중을 키웠다.

삼성그룹은 2011년 13.1%에서 15%로 1.9%포인트가 높아졌고 현대차그룹 역시 8.8%에서 9.7%로 0.9%포인트 상승했다.

5위 롯데그룹과 14위 CJ그룹, 15위 신세계그룹도 유통분야 발전의 영향으로 비중이 커졌다.

그러나 20개사가 포함된 3위 SK그룹은 7.9%에서 7.7%로, 14개사가 포함된 4위 LG그룹은 6.3%에서 6%로 비중이 밀렸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