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임영록 KB금융 회장 내정자, '모피아 낙하산' 꼬리 달고 순항할까?
상태바
임영록 KB금융 회장 내정자, '모피아 낙하산' 꼬리 달고 순항할까?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3.06.07 0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KB금융그룹 차기 회장으로 내정된 임영록 KB금융지주 사장<사진>이 기쁨을 채 누리기도 전에 산적한 과제를 앞두게 됐다.


임 내정자가 사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눈부신 성장을 거뒀던 KB금융지주가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로 실적이 추락하고 있는데다 그의 선임을 반대하는 노조의 반발로 내부결속력에도 크게 금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임 내정자가 가장 먼저 풀어야 할 과제는 KB금융그룹 노동조합과의 갈등이다. 임 내정자는 지난 5일 오후 늦게 KB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의 투표에서 최종 후보로 낙점됐지만 공식적인 소감조차 내놓지 못했다. 노조가 회사 1층 로비를 점거한 채 임 내정자의 선임을 반대한 탓이다.


KB금융 노조는 이날 임 내정자를 포함해 4명에 대한 회추위의 최종 결정이 나오기 전부터 집회준비를 했다. 노조는 처음부터 임 내정자의 선임을 반대해왔다. 임 내정자가 재정경제부 출신이라는 점을 들어 이번 선임이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임 내정자는 1955년생 강원도 영월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따고 미국 밴더빌트 대학원과 한양대학원을 거치면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20회로 공직에 입문해 재정경제원, 재정경제부에서 줄곧 근무한 정통 금융관료출신이다. 임 내정자는 지난 2010년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을 따라 사장으로 부임했다.


임 내정자가 KB금융지주 회장으로 공식 선임되면 ‘모피아’(재무부와 마피아의 합성어) 출신 인사로는 최초로 민간 금융지주회사 회장직에 오르게 된다.


내정 단계에서부터 노조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면서 임 내정자는 조직을 이끄는데 상당한 부담을 지게 됐다.


특히 우리금융그룹이 민영화를 통해 KB금융과 합병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내부결속 문제는 임 내정자의 리더십과 경영능력을 시험하는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KB금융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경우 주택은행 합병에 따른 내부 파벌이 줄곧 문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우리금융까지 합병되면 지점통폐합과 인력 구조조정 과정에서부터 심각한 갈등이 예상된다.



그렇다고 외부상황이 녹록한 것도 아니다.


임 내정자가 사장으로 취임한 뒤 KB금융은 순탄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임 내정자가 지주사 사장에 취임한 2010년 8월 이후 KB금융그룹은 총 자산규모가 258조7천706억 원에서 올해 3월 말 기준 286조6천704억 원으로 10.8% 증가했다. 누적 순이익 규모도 4조1천500억 원에 달한다. 또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계열 회사수는 58개사에서 89개사로 31개나 늘어났다.

그러나 올해 1분기 KB금융그룹의 순이익 규모는 4천12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천86억 원보다 32%나 줄었다. 저금리기조가 장기화하고, 경제 전반에 걸친 침체로 금융권의 경영환경이 크게 악화된 탓이다.


올해 경영여건이 지난해보다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회장으로 첫 발을 내딛어야 하는 임 내정자로서는 실적개선의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국내시장에 치중된 사업구조를 개편해야 하는 근원적인 숙제가 임 내정자에게 안겨져 있다.


▲KB금융 노동조합원들이 지난 5일 오후 국민은행 명동본사 1층 로비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KB금융은 글로벌 메가뱅크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내수시장에서 소매금융에 주로 의존하고 있을 뿐이다. 선진금융기법이 수반되는 기업금융이나 투자은행(IB)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리고 자산규모 대비 글로벌 사업부문의 비중이 3~4% 정도 그칠 정도로 미미하다.


이처럼 편중된 사업구조를 재편해 실적을 개선하고 내부갈등도 추스리면서 정부가 요구하는 우리금융 민영화까지 떠맡아야 하는 게 현재 임 내정자가 처해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임 내정자가 KB금융을 이끌어나가려면 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우리금융 민영화부터 풀어야 할 것"이라며 "그게 임 내정자의 임기를 좌지우지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임 내정자는 내달 12일 이사회와 임시주총을 통해 KB금융지주 회장으로 선출될 예정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