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롯데그룹, 현금성 자산 16% 늘었으나 투자 35% 축소
상태바
롯데그룹, 현금성 자산 16% 늘었으나 투자 35% 축소
  • 이경주 기자 yesmankj@csnews.co.kr
  • 승인 2013.06.26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경주 기자]롯데그룹(회장 신동빈)은 10대그룹 평균보다 크게 투자를 줄이고 현금보유액은 늘려 특유의 보수경영을 드러냈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올해 1분기 실적을 공시한 롯데그룹 계열사 12곳이 올해 1분기에 취득한 유무형자산은 총 5천844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5.1%나 감소한 수치로 같은 기간 실적을 공시한 10대그룹 99개 계열사의 평균감소율 10.7%보다 24.4%포인트나 더 감소했다.


유무형자산 취득액은 토지나 건물, 설비 등을 취득한 금액을 나타내며 투자현황을 파악하는 한 지표다.


반면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액은 4조5천632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6.2% 늘려 역시 10대그룹 평균증가율 10.9%보다 5.3%포인트 높았다.

결과적으로 롯데그룹은 10대그룹 평균치보다 크게 투자를 줄이고 현금보유액은 늘리며 불황에 맞서 특유의 보수적 성향을 더욱 드러냈다.


이는 12개 계열사 중 8곳이 투자를 줄이고, 주력사인 롯데쇼핑을 비롯한 5곳이 현금보유액을 크게 늘린 결과다.


유무형자산 취득을 가장 줄인 기업은 롯데케미칼(허수영)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분기엔 1천934억 원 규모의 유무형자산을 취득했지만 올해 같은 기간엔 716억 원으로 취득액을 64%나 줄였다.


이는 불황으로 신규 사업을 대폭 줄인 결과다. 롯데케미칼의 ‘건설 중인 자산’ 취득액은 713억 원으로 같은 기간 61.6%나 감소했다.


편의점사업을 하는 코리아세븐(소진세)은 63.1%나 감소했다. 지난해 말 편의점업종에 대해 중복출점을 규제하는 모범거래기준이 시행된 영향이다.


코리아세븐 관계자는 “편의점 초기 창업 시 본사가 시설, 장비 등 자산을 투자를 한다”며 “지난해 모범거래기준이 시행되면서 출점요인이 줄어 투자가 줄어든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롯데건설(대표 박창규)이 60.6%, 롯데로지스틱스(대표 이재현)가 46.8%, 롯데쇼핑(대표 신헌)이 38.6%, 롯데알미늄(대표 김영순)이 38.2%로 유무형자산 취득을 대폭 줄였다.


롯데하이마트(대표 한병희)와 롯데정보통신(대표 오경수)는 각각 2.5%, 2% 줄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롯데푸드(대표 이영호)는 롯데햄 인수효과로 같은 기간 유형자산취득 증가율 160.5%를 기록했다.


이어 호텔롯데(대표 송용덕)가 59.9%, 롯데제과(대표 김용수)가 26.7%, 롯데칠성음료(대표 이재혁)가 17.4%의 증가율로 뒤를 이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보유액(이하 현금성 자산)은 맏형인 롯데쇼핑을 비롯한 5개사가 증가세를 견인했다.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롯데건설로 올해 1분기 현금성자산(5천537억 원)이 지난해 말에 비해 35%나 증가했다.


그룹 매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롯데케미칼과 롯데쇼핑은 현금성자산이 수천억 원 증가해 그룹 증가율을 견인했다.


롯데케미칼은 같은 기간 현금성 자산(1조1천923억 원)이 27.3%나 늘었고, 롯데쇼핑도 현금성 자산(2조573억 원)이 22.8%나 증가했다.


이어 롯데정보통신과 코리아세븐이 각각 22%, 13.8% 증가했다.


반면 롯데로지스틱스는 74.2%나 감소해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롯데알미늄(56.3%), 호텔롯데(29.1%), 롯데하이마트(27.2%), 롯데푸드(26.8%), 롯데칠성음료(8.3%), 롯데제과(4.8%)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이에 대해 롯데그룹측은 그룹차원에서 보수적 경영을 지시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그룹관계자는 “개별 기업의 사정에 따라 투자를 줄이고 현금보유를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그룹차원에서는 예정대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