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보험사, '돈놀이'보다 '땅놀이'?…수익률 5% '짭잘'
상태바
보험사, '돈놀이'보다 '땅놀이'?…수익률 5% '짭잘'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3.06.29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저금리 기조로 인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보험사들이 부동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임대수익률이 시장금리를 크게 웃돌기 때문이다.

한화손해보험과 롯데손해보험 등 일부 보험사는 부동산 임대수익률이 9% 안팎에 달할 정도로 짭짤한 수익을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

2012 회계년도 결산실적을 공시한 13개 보험사의 부동산 투자규모는 올해 3월말 현재 11조3천745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3월말 10조1천239억 원보다 12.4% 증가한 수치다.

저금리 기조와 증시침체 등으로 바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보험사들이 부동산 투자를 늘리고 있는 모양새다. 부동산 임대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도 2011 회계년도 5천878억 원에서 2012 회계년도 6천662억 원으로 13.3%나 늘었다.

13개 보험사의 평균 임대수익률은 같은 기간 5.8%에서 5.9%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시장 금리가 2~3%에 머물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수익률이 결코 낮지 않다. 한화손해보험(대표 박윤식)은 부동산 임대 수익률이 9.1%에 달했다.

부동산에 663억 원을 투자해 60억5천만 원의 임대수익을 얻은 것. 지난해 883억 원을 투자해 120억7천만 원의 임대료를 받아 13.7%를 기록했던 것보다는 수익률이 낮아졌지만 시중금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롯데손해보험(대표 이봉철)은 1천62억 원의 투자부동산에서 90억4천만 원의 임대수익을 얻어 수익률 8.5%를 기록했다. 이어 알리안츠생명보험(대표 이명재)이 8.2%, 삼성생명(대표 박근희)이 7.4%, 코리안리(대표 원종규)가 6.7%로 그 뒤를 이었다.

삼성생명은 4조4천395억 원 가량의 부동산에서 3천289억 원이 넘는 돈을 벌어 투자규모와 수익금액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나머지 8개 보험사는 수익률이 평균치를 밑돌았다.

현대해상화재보험(대표 이철영·박찬종)이 5.5%로 6위를 기록했고 메리츠화재해상보험(대표 송진규)이 5.4%, 한화생명보험(대표 차남규)이 5.3%, 흥국화재해상보험(대표 윤순구)이 5%의 수익률을 올렸다.

또 삼성화재해상보험(대표 박근희)이 4.8%, LIG손해보험(대표 김병헌)이 4.2%, 동부화재해상보험(대표 김정남)이 3.7%, 현대라이프(대표 최진환)가 1.1%였다. 한화생명는 2조원, 삼성화재와 동부화재는 1조 원이 넘는 거금을 부동산에 투자했지만 수익률은 평균을 밑돌아 체면을 구겼다.

최근 보험업계에서는 저금리 기조로 인해 향후 몇년간을 내다보고 임대수익률 5%가 넘는 오피스텔 등 오피스빌딩 매입에 나서는 상황이다. 임대수익률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동부화재로 2.8%에서 3.7%로 올랐다.

이 회사는 투자부동산 규모를 34.1%나 늘렸고, 임대수익도 77.1%나 증가했다.

반면 임대수익률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한화손해보험 다음으로 현대라이프로 조사됐다. 지난해 5월 출범한 현대라이프는 최근 1년새 투자부동산 규모가 601억 원에서 2천448억 원으로 388.9% 증가했지만 임대수익은 29.4% 증가에 그쳐 임대수익률이 4.2%대에서 1.1%로 추락했다.

현대라이프 관계자는 "소비자 접근성을 위해 지난해 10월 신대방동에 있는 21층 사옥에서 여의도로 본사를 전세로 옮기면서 부동산 규모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대라이프는 지난해 2월 현대모비스와 현대커머셜이 녹십자생명을 인수해 새로 출범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