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현대중공업, 선박·군사용 초정밀 디지털 레이더 개발
상태바
현대중공업, 선박·군사용 초정밀 디지털 레이더 개발
  • 김종혁 기자 jhkim@csnews.co.kr
  • 승인 2013.07.02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종혁 기자] 현대중공업(대표 이재성)이 국책연구소, 중소기업과 함께 차세대 ‘선박용 디지털 레이더(Radar)’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회사측은 2일 울산 동구 호텔현대에서 ‘선박용 디지털 레이더 시스템 개발 완료 보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디지털 레이더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고출력 전력증폭기 방식(SSPA: Solid State Power Amplifier)으로 해상도가 기존제품 대비 2배 이상 뛰어나 악천우 속에서도 10km 밖에 있는 70cm 정도의 소형 물체까지 탐지가 가능하다.

또 핵심부품인 전력 증폭기의 수명도 3천 시간에서 5만 시간으로 16배가량 길다. 적용분야는 군사용, 해양설비 및 항공 분야 등으로 다양하다.

디지털 레이더 시스템은 지난 2010년 7월부터 현대중공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울산경제진흥원,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중소기업 등 총 10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이뤄 연구 개발한 성과다.

레이더는 그동안 원천기술 미확보와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일본과 유럽 등의 국가로부터 수입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이번 개발은 더욱 의미가 깊다.

현대중공업은 내년 하반기까지 노르웨이 DNV 등 주요 선급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하고, 2015년부터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차세대 레이더 시스템을 현재 개발 중인 스마트십 2.0과 연계해 새로운 선박통합운항시스템을 내놓을 계획이다.

스마트십 2.0은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1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스마트십 1.0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선박의 기관장치 외에 운항시스템, 외부 환경정보, 타 선박 등의 정보를 통합‧관리함으로써 최적의 경제운항과 안전운항이 가능하다.

현대중공업 황시영 부사장(기술경영실장)은 “디지털 레이더 개발을 시작으로 선박의 주요 항해시스템을 우리 손으로 개발해 세계 조선시장에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며 “선박의 수주 경쟁력 강화와 함께 새로운 선박 서비스 시장을 창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디지털 레이더 개발 사업은 울산시, 부산시 등 지자체와 다수의 중소기업도 참여함으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기술을 축적하고 선박의 핵심 기자재를 국산화한 상생협력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 현대중공업 김외현 조선해양사업사장(앞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과
박맹우 울산시장(앞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 등 참석자들이 레이더 시스템을 둘러보고 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