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한 데 이어 무선통신비로는 전체 1위였다.
14일 OECD의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우리나라의 가계 월평균 가계 통신비 지출액은 34개의 회원국 가운데 1위는 일본(160.52달러), 2위는 미국(153.13)에 이은 3위(148.39)였다.
그 뒤로는 멕시코(143.17), 아일랜드(142.11), 룩셈부르크(142.10), 오스트리아(136.39), 핀란드(133.47), 캐나다(129.83), 스페인(124.03) 순이었다.
전체 회원국 중 통신비 부담이 가장 낮은 나라는 중국(30.00)이었다.
폴란드(91.19), 이탈리아(90.69), 덴마크(87.32), 프랑스(84.72), 뉴질랜드(79.63), 헝가리(76.93), 포르투갈(76.67), 독일(72.38) 체코(67.27) 등도 낮은 편이었다.
가계 통신비에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유무선 단말기 가격이 모두 포함됐다. 우리나라 가계통신비를 항목별로 보면 무선통신요금 115.5달러, 유선통신요금 43.6달러, 인터넷요금 21.2달러로 무선 요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실제 무선통신요금 기준으로는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의 뒤를 이어 일본(100.1), 멕시코(77.4)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지만 금액에서는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유선통신요금은 11.7달러로 체코(5.9)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
휴대전화의 보급으로 유선통신 사용이 감소한 결과로 풀이된다.
OECD는 격년으로 회원국을 대상으로 통신인프라 전반을 조사해 발표하며 2년 전 조사에서는 우리나라 가계통신비 부담이 29개 회원국 중 2번째로 많았다.
정부의 통신비 절감 정책 등에도 가계통신비 부담이 크게 줄지 않은 것은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한국은 스마트폰 보급률과 무선인터넷 보급률이 굉장히 높다"며 "특히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이 1.2GB에 이를만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국가"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국가별 사용 특성에 따라 가계별 통신비 지출에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피처폰을 주로 사용하는 국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국가의 가계 통신비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한국의 가계통신비 지출이 이처럼 높은 것은 통신기기와 통신서비스에 치중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