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재계의 대기업 경제력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500대 기업의 올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5대 그룹 영업이익은 22.1%나 증가한 반면, 그 나머지 기업들은 15.2%나 뒷걸음쳤다. 삼성, 현대차 등 대그룹 중심으로 우리 경제가 급속하게 재편되며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삼화되고 있는 것이다.
4일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전년 동기 대비 비교가 가능한 293개사(비상장 60개사 포함)의 연결 기준 상반기 실적을 집계 분석한 결과 5대 그룹 효과로 매출은 926조8천899억 원으로 2.4%, 영업이익은 54조1천698억 원으로 8.6% 성장했다.
그러나 기업 규모별로는 격차가 컸다.
500대 기업 내 5대그룹의 영업이익은 총 38조8천826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1%나 크게 늘었다. 매출 증가율(6.4%)보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높았다.
10대 그룹으로 넓히면 41조7천443억 원으로 14%, 30대 그룹은 46조1천225억 원으로 7.4% 증가했다.
그러나 5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15.2% 줄고 매출도 1.6%나 쪼그라들었다. 10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영업이익 또한 -6.3%를 기록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등 상위 5개 그룹 계열사들로 이익이 확 쏠렸기 때문이다.
500대 기업에 속한 삼성 계열사(15개)들의 총 영업이익은 20조1천966억 원으로 37.6%나 급증했다. 삼성전자(50.7%), 삼성전기(33.4%), 삼성토탈(135.3%) 등의 실적 호전에 힘입었다. 이에 따라 삼성 그룹이 500대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출은 작년 상반기 15.4%에서 올해 17.3%로 1.9%포인트, 영업이익은 작년 29.4%에서 올해는 37.3%로 7.9%포인트나 훌쩍 뛰었다.
현대자동차 그룹(14개사)은 엔화약세와 내수시장 침체, 노조파업 등으로 영업이익이 9조4천308억 원으로 9.1% 줄었다. 현대차(-7.7%), 기아차(-21%), 현대모비스(-4.7%), 현대제철(-31.1%), 현대글로비스(-3.7%) 등 주력 계열사들이 줄줄이 마이너스 성장했다.
SK그룹(14개사)은 SK이노베이션(80.1%), SK종합화학(33%), SK텔레콤(5.4%) 등의 선전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66%증가했고, LG그룹(11개사)도 LG디스플레이(1750.5%), LG유플러스(312.2%) 등의 견조한 성장 덕분에 19.7%의 영업이익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5대 그룹 이하는 크게 부진했다.
조선 철강업 부진으로 포스코(11개사), 현대중공업(5개사), 두산(5개사)은 각각 -10%, -56.1% -37.4%를 기록했다.
한화(5개사) 역시 -21.2%로 부진했고 한진(3개사)은 적자 규모가 3천억 원으로 확대됐다.
GS그룹(6개사)은 GS건설이 6천946억 원의 적자를 내는 바람에 그룹 전체도 작년 4천118억 원 이익에서 올해는 138억 원 적자로 전환하며 10대 그룹 중 최악의 실적을 냈다.
500대 기업 중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엔씨소프트로 무려 4827.2%를 기록했다.
이어 LG디스플레이(1750.5%), GS칼텍스(1387.2%), 동국제강(1292.8%), 대한유화공업(733.7%), 서울반도체(624.9%), 포스코건설(559.0%), 웅진씽크빅(515.3%), LG유플러스(312.2%), 삼립식품(287.0%) 등이 ‘톱10’을 이뤘다.
반면 두산엔진(-88.8%), 경기도시공사(-86.7%), 남양유업(-84.6%), SK루브리컨츠(-81.7%), 한화케미칼(-70.0%), 여천NCC(-69.3%), 사조산업(-68.8%), 이수화학(-66.1%), 한화호텔앤드리조트(-64.4%), 대창(-64.1%) 등은 영업이익 하락폭이 큰 하위 ‘톱10’에 들었다.
이외 GS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 현대삼호중공업, 아시아나항공, 삼성SDI, 현대미포조선, 오씨아이, SK해운, 삼성정밀화학 등 22개사는 적자전환했고, 대한항공, STX조선해양, 팬택, 서울메트로, 대성산업, 덕양산업 등 6개사는 적자폭이 확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