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이동통신 가입자 수 현황'을 보면 SK텔레콤의 2G 가입자는 지난해 10월 말 403만5천152명, 11월 말 393만2천709명 등 급감 추이를 보이다가 12월 말 395만6천520명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다.
SK텔레콤의 2G는 우수한 통화품질과 '011' 번호에 대한 높은 선호도에도 불구하고 3세대(3G)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LTE, LTE-A 등 새로운 기술이 보급되면서 가입자가 하락세를 겪었다.
그럼에도 지난 연말에 이례적으로 2G 가입자가 늘어난 것은 '010 자동전환' 정책의 영향으로 보인다. 정부는 010 번호만 사용할 수 있는 3G·LTE 가입자들에게 01X(011·016·017·018·019) 번호를 한시적으로 부여하는 정책을 지난달 12월31일까지 운영했다.
이에 따라 01X 번호를 쓰던 3G·LTE 이용자들의 번호는 올해부터 010으로 자동 전환됐다. 일부 01X 이용자들은 이 정책에 거부감을 보이며 기존 번호를 계속 사용하게 해달라며 불만을 제기했다.
011 번호에 대한 충성도 외에도 오랜 기간 사용하던 번호를 변경하면 불편을 겪게 된다는 점 등이 이유다. 반면 2G 가입자들은 올해 이후에도 계속 01X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011 번호를 그대로 쓸 수 있다는 2G의 장점과 011 번호의 희소성 때문으로 보인다"고 지난달 2G 가입자가 증가 원인을 분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미경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