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시 전역에서 밤거리를 돌아다니는 속칭 '도둑고양이(길고양이)'를 붙잡아 불임수술을 한 뒤 풀어주는 사업이 전개된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초부터 용산구와 강남구에서 시범 실시하고 있는 고양이 '중성화 수술 후 방사 사업(TNR.Trap-Neuter-Return)'을 내년부터 시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TNR 사업은 길 고양이를 덫을 놓아 포획(Trap)해 주인이 나타날 때까지 30일간 보호 관리한 뒤 중성화 수술(Neuter)을 하고 수술 표시로 귀 끝을 자르거나 표지를 부착해서 방사(Return)하는 사업을 말한다.
중성화 수술은 암컷의 경우 난소를 제거하고 수컷은 정관을 자르거나 거세하는 것으로 중성화된 고양이는 공격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큰 울음소리를 내지 않게 된다.
시 관계자는 "버려진 고양이들이 주택가를 배회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헤집어 놓거나 번식기에 요란한 울음소리를 내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며 "이에 따라 고양이 중성화 수술을 통해 개체 수 관리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 1월부터 TNR 사업을 시범 실시하고 있는 강남구와 용산구는 올 상반기(1∼6월)에 각각 69마리와 93마리의 길 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실시했다.
중성화 수술에는 수컷의 경우 5만∼10만원, 암컷은 10만∼15만원이 들며 시와 자치구는 이 사업에 드는 비용을 절반씩 부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내년도 이 사업 예산으로 3억3천여만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고양이는 1년에 2∼3회 임신이 가능하며 한 번 임신할 때마다 4∼5마리의 새끼를 낳아 적절하게 개체 수를 관리하지 않으면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시는 현재 서울 지역에 모두 3만여 마리의 길고양이가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편 대다수 동물보호단체들도 길고양이의 인위적인 안락사에는 반대하지만 불임 수술을 통한 개체 수 관리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시 관계자는 전했다.
시 관계자는 "길고양이는 사람에게 쉽게 접근하지 않고 예민해 많은 길고양이를 잡기는 힘들 것 같다"며 "그러나 지속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가면 일정 수준으로 고양이 개체 수를 관리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NR 사업은 1990년대 중반 영국 등지에서 시작돼 현재 상당수 유럽 국가와 일본, 호주에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02년부터 경기도 과천시를 비롯해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돼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연합뉴스)
산에도 고양이 길에 치인것도 고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