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2%대 주택대출금리 본격화, 가계부채 증가 우려
상태바
2%대 주택대출금리 본격화, 가계부채 증가 우려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15.03.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연 2%대 주택대출금리’가 보편화될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대출금리를 2%대로 내리는데다 금융당국이 2% 중반대 전환대출까지 내놨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도 급증세를 보이는 가계빚 문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3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외환은행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발표된 다음날인 13일 최저금리가 2.72%, 최고금리가 3.02%까지 떨어졌다.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국고채 금리와 연동해 움직이는데, 통상 국고채 금리의 변동은 다음날 주택대출 금리에 반영된다. 그런데 12일 1.90%이던 국고채 3년물 금리가 13일 다시 급락해 1.87%로 0.03%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따라 3.02%였던 외환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최고 금리는 16일부터 2.99%로 내려가게 된다. 외환은행에서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는 사람은 신용이 불량하지 않는 한 대부분 연 2%대의 대출금리를 누릴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다른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뚝뚝 떨어지고 있다.하나은행(행장 김병호)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3년 후 변동금리 전환)은 최저금리가 2.9%까지 내려왔으며,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95%까지 떨어졌다.

신한은행(행장 서진원)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98%까지 하락했다.우리은행(행장 이광구)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최저금리는 2.88%까지 떨어졌으며, 인터넷 대출상품인 '아이터치 아파트론'의 금리는 이보다 더 낮은 2.68%까지 주저앉았다.

오는 24일부터 각 은행에서 출시되는 2%대 '안심전환대출'은 이런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이 장기 분할상환형 고정금리대출로 갈아타기 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내놓는 이 상품의 금리는 당초 2.8~2.9%로 예고됐다.

하지만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전격 인하하면서 이 상품의 금리도 2% 중반대로 내려갈 것으로 금융당국은 전망하고 있다. 이는 시중은행의 추가적인 대출금리 인하 경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2%대 주택담보대출이 '대세'로 자리잡게 되면서 은행 고객들의 금리 부담은 줄어들게 됐지만,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 가계부채의 위험은 더욱 커지게 됐다.지난해 은행 대출을 통해 늘어난 가계 빚은 39조원에 달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