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서민지원 대출상품, 정작 '서민들은 몰라요~'
상태바
서민지원 대출상품, 정작 '서민들은 몰라요~'
  • 손강훈 기자 riverhoon@csnews.co.kr
  • 승인 2015.04.29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은평구 김 모(남)씨는 낮은 신용등급 때문에 시중의 한 저축은행에서 34%의 이자로 1천800만 원의 자금을 대출 받았다. 낮은 신용등급으로 당연히 은행 대출을 받지 못할 것이라 여긴 김 씨는 급하게 돈이 필요해 높은 이자에도 저축은행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뒤늦게 이자 10%대의 서민지원 대출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되돌릴 수는 없었다.
 
#부산 해운대구에 사는 조 모(여)씨는 급한 자금이 필요해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았다. 하지만 막상 돈을 빌려 급한 불을 끄고 나니 연 39%의 이자가 큰 부담이 됐다. 서민지원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자격조건이 된다는 걸 알고 신청해 11%의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대부업체의 자금을 상환한 조 씨는 “3배가 넘는 이자를 계속 낼 뻔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서민 지원을 위해 내놓은 대출상품에 대한 홍보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상품의 종류와 취급 기관이 워낙 다양해 정작 금융소비자들이 이 상품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경기 침체로 자금이 필요한 소비자들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자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서민지원 대출상품 알리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저소득, 저신용에 창업‧생활자금 필요하다면?

4.jpg

연소득 3천만 원 이하 이거나 신용등급이 6~10등급이라면 우선 서민지원 대출상품을 신청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지부터 알아봐야 한다.

신용등급이 6~10등급에 저축은행 대출 이자가 연 25~35%, 대부업은 39%대로 알려져 있지만 서민지원 자금 대출상품의 이자는 4.5~12%로  2배에서 무려 8배까지 차이가 난다.

서민지원 자금 대출상품은 크게 새희망홀씨, 햇살론, 미소금융으로 나뉜다. 새희망홀씨는 생활자금을, 미소금융은 창업‧운영자금을 받을 수 있고 햇살론은 생활‧창업자금을 모두 대출받을 수 있다.

새희망홀씨는 시중 16개 은행에서 신청가능하며 햇살론은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회사와 저축은행, 미소금융은 미소금융중앙재단에 신청해 받을 수 있다.

◆ 금융소비자 절반 가량, "서민금융 상품 잘 몰라"

서울시복지재단이 저소득 근로자가 가입 가능한 희망플러스통장‧꿈나래통장 가입자 1천5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저소득층 금융서비스 욕구 및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정부와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서민금융 상품을 이용한 저소득층은 8.9%에 그쳤다.

4-1.jpg
▲ 출처: 서울시복지재단
특히 서민대출을 이용하지 않은 응답자 중 25.9%가 ‘상품의 존재 자체를 몰랐다’고 답했고 ‘나에게 맞는 상품이 뭔지 모른다’는 답변도 22.9%였다.

이는 아직도 서민지원 자금대출 상품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을 보여준다.

금융업계 전문가는 “소득과 신용등급이 낮다고 무조건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를 찾지 말고 서민지원 자금대출 대상자가 되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손강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