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통신비 할인 특화 신용카드, '현대카드L' 눈에 띄네~
상태바
통신비 할인 특화 신용카드, '현대카드L' 눈에 띄네~
  • 손강훈 기자 riverhoon@csnews.co.kr
  • 승인 2015.05.22 0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통신요금 부담이 커지면서 신용카드 이용실적으로 통신요금을 절약해보려는 소비자들이 많다.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어 있지만 이용중인 통신사와 제휴된 카드상품을 사용할 경우 더 큰 할인을 받을 수 있었다. 

각 통신사별로 할인 가능 기준은 낮으면서 혜택이 큰 대표상품 4개의 장단점을 비교했다.

000.jpg

가장 눈에 띄는 상품은 현대카드(대표 정태영)의 ‘SK텔레콤 현대카드L’로 월 1만 원의 SK텔레콤 통신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의 가장 큰 장점은 전월실적과 할인한도 없이 전 가맹점에서 0.2%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것. 통신요금 할인을 위해선 전월실적이 40만 원 넘어야 하는데 할인 받을 수 있는 통신 요금과 부가혜택을 생각하면 적절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연회비가 국내 1만 원, 해외겸용 1만5천 원으로 4가지 상품 중 가장 비싸지만 큰 차이가 없어 커다란 단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KB국민카드(대표 김덕수)의 ‘올레KB국민카드’는 KT통신요금 월 9천 원 할인이 가능하다. 기준은 전월실적 30만 원 이상으로 무난한 편이고, 부가혜택은 해피포인트가맹점에서 해피포인트 5%가 적립된다.

연회비는 국내 5천원, 해외겸용 1만 원으로 저렴한 편에 속한다.

‘LG U+ 스마트할인 KB국민카드’는 연회비가 국내 3천 원, 해외겸용 5천 원으로 가장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연회비는 가장 저렴하지만, 월 9천 원 LG U+ 통신비 할인, 해피포인트 5% 적립,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5만 원 이상 이용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가 제공돼 혜택도 밀리지 않았다.

신한카드(대표 위성호)의 ‘LG U+ 스마트10 신한카드빅플러스카드’는 LG U+ 통신비 1만 원이 할인된다. 부가혜택은 주유 적립, 테마파크/공연, 영화/건강, 미용/스포츠 분야에서 할인 서비스 제공이다.

통신비 할인은 전월실적이 40만 원 이상 돼야 적용되며 연회비는 국내 1만 원, 해외겸용 1만3천 원으로 현대카드와 차이가 거의 없다.

다만 현대카드의 부가혜택은 할인한도 제한이 없지만 신한카드의 경우 할인한도, 횟수 등의 제한이 있어 상대적으로 밀린다는 평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손강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