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해보험(구 동부화재, 대표이사 김정남)이 각급 지방자치단체와 단체 자전거보험 상품 계약을 갱신·확대하고 있다.
타 손해보험사의 경우 손해율이 높다는 이유로 상품을 아예 없애거나 줄이는 추세인데 DB손해보험 홀로 분투하고 있다.
29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DB손해보험은 올해 경기 광명시, 구리시, 성남시, 여주시, 용인시, 경남 통영시, 대전시, 충남 당진시, 충북 청주시 등 10여개 지자체와 시민대상 단체 자전거보험 상품을 신규 계약하거나 갱신했다.
지자체 단체 자전거보험은 해당 지자체 주민들이 자전거 사고를 당했을 때 피해를 보상하는 정책성 보험이다. 각 지자체는 통상 1년 1억~2억 원 수준에서 손해보험사와 계약을 맺고 있다. DB손해보험은 현재 20여 개 지자체와 자전거보험 계약을 유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만해도 70여 개 지자체가 DB손해보험과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3개 손해보험사와 계약을 맺고 있었다. 그러나 과도한 손해율과 홍보 미비, 정책적 한계 등으로 2개사는 판매를 접는 추세다.
그러나 DB손해보험만 사실상 업계에서 유일하게 단체 자전거보험 계약을 유지중인 것이다.
DB손해보험 관계자는 “자전거보험 손해율이 낮진 않지만 작년의 경우 매출이 36억 원, 올해는 10월까지 매출이 37억 원 정도 되는 등 매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줄이지는 않고 내년에도 이 정도 규모를 유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단체 자전거보험에 대한 입지를 굳힐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자전거보험은 이명박 정부 때 만들어진 정책성 보험으로 과실비율을 따지기도 애매하고 악용 사례도 있는 등 손해율이 높다고 판단해 타 보험사들은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며 “한 회사만 영업을 지속할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규모의 경제’ 확립이 가능한데 그걸 지향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우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