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가계대출 억제정책에 맞춰 주요 은행들이 대출 심사기준을 까다롭게 바꾸고 나섰다. 이에 따라 지난해 증가세를 보였던 가계대출이 올해는 위축될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행장 손태승), 신한은행(행장 위성호), KB국민은행(행장 허인),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 등 4대은행들은 줄줄이 여신심사에 도입될 DSR 활용 가이드라인을 확정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신용대출은 DSR 150% 초과 시, 담보대출은 200% 초과 시 대출 승인을 거절하게 되며 DSR이 100%를 넘어도 고(高)DSR로 분류할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신용대출의 경우 1~3등급이면 DSR과 관계없이 대출이 되지만 4등급 이하면 DSR 150% 이상은 대출을 거절하게 된다. 신용대출 외 대출의 경우 DSR이 100% 이상이어도 6등급 이상이면 대출이 가능하다.
KEB하나은행은 고DSR 분류 기준을 100%로 정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DSR이 150%를 초과하고 신용등급 8등급 이하면 대출을 거절할 방침이다. 신한은행은 신용대출은 DSR 150% 초과 시, 담보대출은 200% 초과 시 본부에서 별도로 심사하기로 했다.
4대은행들이 가계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지난 3월 말 가계부책 관리대책을 발표하면서 시행 중인 총체적상환능력비율 즉 DSR이 도입됐기 때문이다.
DSR은 대출심사과정에서 기존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합산, 연 소득과 비교해 대출한도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합산하는 대출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자동차할부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을 말한다.
예를 들어 DSR 기준이 100%라면 연봉 7000만 원인 직장인 A씨가 연간 상환해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이 7천만 원을 넘지 말아야 한다.

4대은행의 지난해 가계대출 총액은 434조 원으로 우리나라 가계부채 1450조9천억 원의 30%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3.5%(14조5천억 원) 증가하며 역대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4대은행의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가계대출 비중은 51%로 절반을 넘었다. KB국민은행 55%, 하나은행 52%, 신한은행 50%, 우리은행 48% 등이었다.
하지만 금감원이 가계대출에 제동을 걸고, 주요 은행들이 이에 적극적으로 발맞추면서 올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은행 문턱이 더욱 높아지게 됐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일반대출시 DSR이 100%를 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지만 주택 구매 등 목돈을 빌리려 할 때 한도 축소 및 심사가 까다워지면서 올해 은행들의 가계대출은 상당히 위축될 것"이라며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조절하되 성장 가능성이 큰 중소 법인위주의 기업대출 확대에 중점을 둘 방침"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