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포스코건설이 철강 생산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인 슬래그에 정유 부산물인 유황 융합해 만든 시멘트가 콘크리트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얻고 상용화에 돌입한 바 있다.
포스코건설은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 슬래그 성분과 삼산화황 등 유황 성분이 반응을 일으키면 황산마그네슘계열 물질 등이 생성되면서 양생 속도가 10% 빨라져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높아지고 저렴한 유황이 들어가면서 시멘트 비중이 작아져 재료비가 10% 정도 절감된다.
이에 따라 포스코건설은 에쓰오일·태명실업·범준이엔씨 등과 철강·정유 부산물을 융합한 시멘트 개발과 함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협약을 맺었다.
포스코건설은 에쓰오일로부터 유황 등 정유 부산물을 10년간 공급받는다. 또 유황시멘트 콘크리트 기술을 보유한 범준이엔씨와 새로운 시멘트를 개발하고 태명실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개발에 참여할 계획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란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최근 건설 공사에서 사용 비중이 커지고 있어 단순하게 시멘트를 생산하는 것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업체에 따르면 건설업계는 이 시멘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개발이 성공할 경우 새로운 동반성장 모델 및 환경친화적 신사업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각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춘 기업들의 시너지로 신기술을 개발해 동반성장의 길을 열 것”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