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CGV는 중국과 베트남에선 흑자 기조로 돌아섰다. 중국에서는 올해 춘제 기간 역대 박스오피스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908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익은 328억원 적자에서 23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할리우드 대작이 없는 가운데 ‘탐정당인3’ 등 로컬 콘텐츠가 흥행을 주도하며 거둔 성과로 더욱 주목된다.
베트남 또한 할리우드 콘텐츠가 없는 가운데 ‘올드 파더’ 등 로컬 콘텐츠가 흥행하면서 실적을 견인했다. 매출은 274억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3.3% 증가했다.
반면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 영업중단이 지속되었던 인도네시아에서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8.8% 감소했고, 영업손익도 43억원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가 지속됐다. 방역당국의 영업중단 명령으로 극장 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었던 터키에서도 매출 3억원, 영업손실 42억원을 기록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진행된 코로나19 3차 유행으로 올해 1분기에도 극장 관객 수가 감소하며 여전히 고전하는 모습이다. 매출은 5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1% 감소했고, 526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가 지속됐다.
다만 비용 구조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이루었다는 점은 영화 개봉이 본격화되는 2분기 이후를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CGV는 1분기 고정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건비와 임대료는 물론 판매관리비 등을 크게 낮추면서 몸집을 가볍게 하는데 주력했다.
CGV의 자회사 CJ 4D플렉스는 전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중단되었던 해외 극장들이 일부 운영을 재개하면서 매출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귀멸의 칼날’ 4DX가 팬덤을 형성하면서 직전 분기 대비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70.1% 감소한 64억원의 매출과 영업손실 43억원을 기록했다.
허민회 CGV 대표는 “1분기 중국, 베트남 등을 중심으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가운데, 6월 초 3000억원의 신종자본 전환사채를 발행해 재무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라며 “2분기에는 성과 극대화를 위한 콘텐츠 마케팅에 집중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극장 패러다임 변화를 지속적으로 앞당겨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