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일 효성중공업과 ‘대용량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SGM) 국산화 공동연구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축발전기모터는 엔진 축의 회전력을 활용해 선박 추진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장비다. 최근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면서 글로벌 해운업계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강구하고 있다. 이중 축발전기모터는 발전기 가동 의존도를 낮춰 연료 효율은 높이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 배출량은 줄일 수 있는 대표적 친환경 신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양사는 이미 지난 2019년 ‘유도기 방식’의 축발전기모터 국산화에 성공해 LNG운반선, LPG운반선, 초대형원유운반선에 이 시스템을 적용해 오고 있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본적으로 연료 효율을 기존 대비 약 3%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선형 변경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번 연구가 완료되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를 조달할 수 있어 ‘핵심 장비 국산화’와 ‘수주 경쟁력 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 해외 제품과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도 줄일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을 포함한 모든 선종에 축발전기모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최동규 전무는 “탄소 중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각종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이번 공동연구로 해당 시장에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동시에 선박용 핵심 장비 국산화를 통해 수주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