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촌2센터는 연면적 4만450㎡에 축구장 약 6개에 달하는 크기다. 지하 3층, 지상 9층, 약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하는 하이퍼스케일급 규모로 수도권 지역 7번째 IDC다.
1999년 국내 최초로 서울 논현동에서 IDC 사업을 시작한 LG유플러스가 평촌메가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짓는 하이퍼스케일급 IDC기도 하다.

LG유플러스는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및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 데 따라 신규 IDC를 구축하게 됐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평촌2센터의 가장 큰 특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꼽았다.
평촌2센터는 서버에 직접 냉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을 통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이중마루(서버가 놓인 바닥 아래 냉기가 흐를 수 있도록 만든 공간)가 없는 구조는 전산실 내 작업이 편리하고, 온도가 높은 특정 지점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고객 요구와 장비 특정에 맞춰 다양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지리적 근접성도 장점이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이곳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강남, 가산디지털단지, 판교 등에서 30분 이내 이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국내 최대 규모의 평촌메가센터와 300m 거리에 있어 기존 고객이 신규 IDC에 입주할 경우 운영 비용과 회선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보안을 강화하고자 사무동과 전산동을 물리적으로 분리했고, 센터 출입구부터 전산실에 이르기까지 총 5단계에 이르는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평촌2센터 구축에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친환경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IDC 분야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차가운 외기를 전산실에 도입해 서버 발열을 제거하는 외기냉방시스템을 적용하고, 외기냉방 후 더워진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풍도를 설치한다. 또한 6.9m에 달하는 높은 층고와 벽체 단열성능을 높여 냉방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신재생 에너지 사용도 늘린다. 사무동은 지열을 활용해 냉·난방하고, 태양광 설비와 연료 전지의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전력사용량을 줄일 예정이다. 또한 냉방 및 가습용 물 사용량을 모니터링해 물 사용량을 최적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140GWh(약 10만명이 1년간 소비하는 전력)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6만5천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여 약 90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LG유플러스 기반사업그룹장 임장혁 상무는 "1999년 국내 최초로 IDC 사업을 시작해 20년 이상 축적해온 노하우와 국내·외 주요 IT기업을 유치한 경험을 살려 IDC 사업 경쟁력을 지속해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
특고압선을 왜 그리 얕게 묻으신 것입니까? 하천 밑에도 마찬가지이고, 공사도 왜 그리 유치원들과 수많은 학교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얕게 지나가도록 묻으셨던 것입니까?
아이들이 위험합니다. 안양주민들이 위험합니다.
제발 데이터센터 공사 중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