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포스코센터에서 ‘물류부분 협력강화 및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제철소가 위치한 광양항과 평택‧당진항 구간의 연안해운 인프라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두 가지 방식으로 물류를 복화운송한다. 하나는 포스코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한 열연코일을 평택유통기지까지 옮긴 후 코일로로선이 돌아갈 때, 현대제철 순천공장으로 보내는 코일을 선적해 광양항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대제철이 당진제철소에서 생산한 열연코일을 1만 톤급 전용선을 이용해 순천항까지 옮기고 후 광양 제품부두로 이동해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한 코일을 싣고 다시 당진항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양사는 열연코일 복화운송을 위해 광양 로로부두와 평택유통기지를 공유하며, 코일로로선 4척과 1만 톤급 전용선 1척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연간 55만 톤 규모 일반선 운송 물량 중 12만 톤을 현대제철 전용선으로 운송하게 된다. 현대제철은 연간 80만 톤 규모인 도로와 철도운송 물량 중 12만 톤을 포스코 코일로로선으로 운송한다.
양사는 복화운송 1년차에 연안해상 운임을 3~6%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선박 운항횟수가 포스코는 월 2항차, 현대제철은 1~2항차가 줄어 연간 3000톤 규모의 탄소배출이 저감될 것으로 보인다. 복화운송은 첫 해 24만 톤 규모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60만 톤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