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정부, 내년 보건의료 분야에 1조4687억 원 예산 투입…바이오헬스 7899억 원 지원
상태바
정부, 내년 보건의료 분야에 1조4687억 원 예산 투입…바이오헬스 7899억 원 지원
  • 김경애 기자 seok@csnews.co.kr
  • 승인 2021.12.23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보건의료 분야 예산으로 1조4687억 원이 편성됐다. 이 가운데 신약, 바이오 등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에는 7899억 원이 투입된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3일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통합 시행계획 등을 통해 총 1조4687억 원의 2022년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정부 R&D 총예산 29조7770억 원의 4.9%에 해당하는 규모로, 지난해 예산(1조3285억 원)에 비해 10.6%(1402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8.7%를 상회한다.

정부는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확대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112개 사업의 신규과제 1854억 원, 계속과제 1조283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류근혁 제2차관은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변종 감염병과 정신건강, 치매, 암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R&D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면서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2022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 부처별로 통합 시행계획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3582억 원 편성)=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임상·임상 단계 연구에 976억 원을 지원한다. △코로나19뿐 아니라 신·변종 감염병(Disease-X)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백신 개발역량 강화, 평가기술 개발, 공급 안정, 글로벌 백신 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한 13개 사업에 1169억 원을 지원한다. △감염병 대유행(pandemic)에 대응해 백신을 신속 제작할 수 있는 mRNA, 나노 파티클(NP), 합성항원 등 백신 플랫폼과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등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에 범용 사용이 가능한 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면역증강제, 접종·안정화, 부작용 예측 등 백신 효과 확대와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

◆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7899억 원)=△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기초, 중개·임상, 제품화, 인·허가까지 전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기회 확대와 바이오헬스 시대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과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예산은 올해 764억 원에서 내년 936억 원으로 증액됐다.

◆ 공익적 R&D 투자 강화(2139억 원)=△포스트 코로나 시대 혈액 부족, 건강 격차, 취약계층 돌봄, 비대면 진료 등 공익 수요가 높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예산은 올해 560억 원에서 내년 701억 원으로 증액됐다. △정신건강과 치매, 암, 미세먼지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에 중점 투자해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2021년 1107억 원→2022년 1264억 원). 

◆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1067억 원)=△의사과학자, 규제과학 전문가 등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병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를 육성한다(2021년 966억 원→2022년 1067억 원). △특히 의사과학자는 임상교수·전임교원 대상 K-medi 융합인재 양성 사업 신설 등으로 학부생부터 박사 후 신진 의사과학자까지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현재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운영되는 '범부처 협의체'를 중심으로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