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시감위에 따르면 지난해 불공정거래는 유형별로 미공개정보이용이 총 77건(70.6%)로 가장 많았고, 시세조종 13건(11.9%), 부정거래 10건(9.2%), 보고의무위반 4건(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 보면 코스닥 71건(65.1%), 코스피 31건(28.4%), 코넥스 3건(2.8%)이 확인됐다.
주요 특징으로는 상장사 임직원의 사회적 이슈(바이오, 미래사업 테마 등)를 이용한 미공개정보 이용행위가 증가했으며, 최대주주 지분 담보가치 유지, 유리한 전환가액 형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시세조종행위가 늘었다.
또한 거짓기재‧풍문유포를 이용한 부정거래 및 기업사냥형, 리딩방 부정거래가 꾸준히 발생했으며, 파생상품시장에서의 시장질서 교란행위 및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발생이 두드러졌다고 한국거래소는 설명했다.
코로나19 관련 백신, 치료제, 임상 등을 이용한 정보나 자율주행차, 2차전지, 가상화폐 등 미래사업 테마오 관련된 호재성 정보의 이용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시감위 관계자는 “불공정거래 세력은 실체 없는 대선테마와 회사의 장래 경영계획을 교묘히 이용한 풍문 등을 이용해 투자를 유인한다”며 “호재성 정보의 단순 추종매매를 지양하고 사실여부·이행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