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삼성전자, 마스크 이어 이번엔 자가진단키트 업체 생산성 향상 위한 긴급 지원
상태바
삼성전자, 마스크 이어 이번엔 자가진단키트 업체 생산성 향상 위한 긴급 지원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22.02.24 1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의 국내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 공장 구축 긴급 지원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24일 충남 천안에 있는 자가진단키트 생산 업체 젠바디에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가 19명을 급파했다.

삼성전자가 파견한 전문가들은 설비당 작업시간을 단축해 생산성을 30% 높이고, 생산라인 재배치와 재고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물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젠바디 협력회사의 금형·사출·인쇄 기술 등을 지원하고 젠바디의 신공장 조기 안정화도 뒷받침할 예정이다.

젠바디 신공장이 4월 말 가동되면 생산량은 현재 주당 300만개에서 600만개로 늘어나게 된다.

삼성전자는 수젠텍에도 제조 전문가를 파견해 물류·설비·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중소 생산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0년 2월 마스크 대란 당시 E&W·에버그린·레스텍·화진산업 등 마스크 제조업체 4곳에 제조 전문가 50명을 긴급 투입했다.

이들 기업은 2달 만에 생산능력이 51%나 높아졌다.

그해 5월에는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진단키트 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섰다.

당시 국내 진단키트 업계는 전통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 운영돼 갑자기 늘어난 글로벌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삼성전자는 현장에 전문가를 급파해 금형 설계, 물류 동선 최적화 등을 지원했고, 솔젠트, 코젠바이오텍은 주당 진단키트 생산성이 70% 이상 높아졌다.

2020년 말에는 백신 주사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LDS 주사기 생산 기업 풍림파마텍에 전문가 30명을 급파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왔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중소·중견기업 대상 제조 환경 개선 사업인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삼성전자와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해 운영 중이다.

지금까지 삼성전자가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 곳은 2819곳에 달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생산성 향상과 현장 혁신 지원뿐만 아니라 국내외 판로개척,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애로기술 지원, 스마트365센터 운영을 통한 스마트공장 유지 관리와 고도화 등을 통해 해당 기업들의 지속 가능한 자생력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