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지역 현지 정세 악화 및 서방 제재의 본격화로 일부 수출대금 회수가 지연되는 등 사태 장기화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데 따른 조치다.
4일 관계부처 합동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는 해당 내용을 포함한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시행방안을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먼저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 3곳은 자체여력을 통해 피해기업 신규 운영자금 특별대출 2조 원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 기업으로 특히 자금 애로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중견·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우크라이나·러시아에 현지법인(지점) 또는 공장을 설립한 국내기업 ▲최근 1년 간 분쟁지역에 수출·납품실적을 보유한 국내기업 ▲지난해 1월부터 분쟁지역으로부터 수입 또는 구매실적이 있는 기업이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피해기업을 신속 지원하기 위해 기존 특별대출 프로그램에 별도 한도를 1조5000억 원 규모로 제공한다.
수출입은행은 수출입 기업과 현지 진출기업 등 피해지원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신설해 5000억 원을 지원한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기존 차입금 만기연장 등 특별 상환유예 프로그램도 가동된다.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기관 대출 및 보증을 1년 간 전액 만기연장하고 시중은행 대출도 자율연장 유도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4일부터 시행되는 한편 금융당국은 산업별, 부문별 피해상황과 파급영향 정도를 점검하면서 지원규모와 대상 확대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프로그램 신청은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통해 가능하며 피해 기업들은 정책금융기관 영업점 또는 우크라이나 사태 피해 기업 상담센터를 통해 긴급 금융지원 상담이 가능하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