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유한양행에 따르면 일찍부터 기업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기업 경영으로 축적한 부를 사회에 환원한 고(故) 유일한 박사는 사회 고위층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인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를 실천한 우리 사회의 '진정한 참 기업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최근 IT기업 리더들의 잇단 재산 기부가 이어지는데, 유일한 박사는 이보다 반세기 더 앞선 시기 우리 사회에 건강한 기부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9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미국 유학을 떠난 故 유일한 박사는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뒀으나 이를 뒤로하고 1926년 31세가 되던 해에 귀국했다.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한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故 유 박사는 '기업은 사회의 것'이라는 일념으로 1936년 유한양행을 주식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1939년에는 종업원지주제를 우리나라 최초로 채택했다. 1962년 국내에서 두 번째로 주식공개를 단행했으며 1969년에 경영권 상속을 포기하고 전문 경영인에게 사장직을 물려줬다.
유한양행은 1969년 이후 5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평사원 출신의 전문경영인을 선출하고 있다. 현재 약 1900여 명의 유한양행 임직원 중 유일한 박사의 친인척은 단 한 명도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작고 후 공개된 유언장은 현재까지도 우리 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 장남 유일선 씨에게는 "대학까지 졸업시켰으니 앞으로는 자립해서 살아가라"는 유언과 함께 유일선 씨의 딸이자 자신의 손녀인 유일링(당시 7세) 양의 학자금으로 1만 달러만 남겼다.
딸 유재라 씨에게는 학생들이 뛰놀 수 있도록 유한중·공업고등학교 일대의 땅 5000평 등을 상속했는데 "소유주식을 비롯한 모든 재산들은 사회사업과 교육사업에 쓰도록 한다"고 유언을 남겼다.
작고 후 오랜 시간이 지나 공개된 CIA의 비밀문서도 관심사였다. 미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가로서 지속 활동한 행적이 알려지며 눈길을 끌었다. 그의 독립운동 활동 중 정점은 목숨까지 바칠 각오로 임한 냅코(NAPKO) 작전이다.
故 유일한 박사는 1942년부터 미육군전략처(OSS)에서 한국 담당 고문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OSS의 비밀 침투작전인 냅코작전에 공작원으로 입대하게 된다. 작전은 한국 임시정부 광복군의 독수리 작전과 합동 수행으로 한국인을 국내에 침투시켜 정보 수집, 폭파, 무장 유격활동 등을 전개하는 것이었다.
한편 딸 유재라 씨는 1991년 세상을 떠나면서 본인이 갖고 있던 주식 등 200억 원대의 재산 모두를 사회에 기부해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대를 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