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K Car(케이카)는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740여개 모델을 대상으로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 4월 휘발유와 경유 차종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며 특정 모델의 경우 최대 7%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유가 상승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경유를 중심으로 유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중대형 등 연비가 낮은 차종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평소 경유 차량은 휘발유 차량보다 연비가 좋고 유지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으로 인해 선호하는 수요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에 맞먹는 수준으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실제 국산과 수입 브랜드를 모두 통틀어 비교했을 때 하락폭이 높은 상위 10개 차종의 평균 시세 감소율은 경유 3.8%, 휘발유 3.4%로 경유 차종의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케이카에 따르면 4월 전망에서 가장 많이 시세가 하락한 차종 역시 경유차로, 경유 전용으로 출시된 BMW X1 (E84)이 전월 대비 7.6% 감소가 예상된다. 뒤를 이어 휘발유와 경유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된 중형 세단 BMW 5시리즈(F10)를 비교해 봐도 경유 모델은 5.2%, 휘발유 모델은 4.6%가 전월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경유 모델이 더 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4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 등 친환경차의 시세는 보합세 또는 소폭 상승을 전망했다.
하이브리드 차종은 3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전월 대비 상승폭이 0.1%~0.3% 정도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기차는 전월 대비 4월 시세가 0.3% 상승 수준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