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노조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금감원은 채용비리로 스스로 감독기구로서 신뢰를 떨어뜨렸고 사모펀드 사태 관련 사후감독을 소홀히했다는 비판을 받았다"면서 "금감원 고위층은 두 사건과 관련해 책임을 지기는 커녕 오기와 변명으로 일을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갑작스럽게 금감원 고위층에 비난의 화살을 날린 것은 매년 되풀이되는 금감원 공공기관 지정 문제 때문이다.
특히 차기 정부 첫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된 추경호 후보자가 과거 기재위에서 금감원의 공공기관 지정을 강력하게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추 후보자 부임 이후 금감원의 공공기관 지정 논의에 다시 불을 지필 가능성이 높다.
금감원 노조는 우선 채용비리 사건과 관련해 가담자 중 일부는 퇴사 후 금융회사 임원으로 재취업에 성공했고 윤석헌 전 원장은 채용비리 가담자를 승진시키는 등 금감원 지도부에서 부적절한 처신을 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억울한 피해자들에게 지급한 손해배상금에 대한 구상권도 수 년간 행사하지 않다가 정은보 원장이 취임한 뒤에서야 구상권을 행사했고 그 사이 채용비리와 무관한 직원들은 평가상여금 삭감과 승급 적체 등의 피해를 보게 되었다고 밝혔다.
사모펀드 감독 소홀 문제에서도 노조는 금감원 고위층이 책임을 외면한 사이 기재부와 감사원이 요구한 쇄신안을 수용하기 위해 무고한 직원들이 연대책임을 지게 되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노조는 감사원 감사결과 사모펀드 사태 책임을 의사결정 권한도 없는 팀원에게 묻는 황당한 결과가 나타났고 삼성바이오 회계분식사건과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건 등을 지휘한 원승연 전 부원장은 퇴임 신분이라는 이유로 조사조차 받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채용비리 연루자를 승진시키고 사모펀드 사태 책임을 회피한 윤석헌 전 원장은 퇴임했고 후임 정은보 원장이 채용비리 책임자에 대한 구상권 행사 등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공공기관 지정 문제로 금감원의 미래가 더 이상 좀 먹지 않고 무고한 직원들의 희생을 높이 평가해주시길 기재부에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