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한국동서발전, 디지털 트윈으로 풍력 발전량 예측하는 플랫폼 연구개발 나서
상태바
한국동서발전, 디지털 트윈으로 풍력 발전량 예측하는 플랫폼 연구개발 나서
  • 최형주 기자 hjchoi@csnews.co.kr
  • 승인 2022.04.22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동서발전(대표 김영문)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트윈 기반 풍력발전기 유지관리 실증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디지털 트윈으로 풍력발전설비를 진단하고 발전량을 예측하는 플랫폼의 연구개발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동서발전은 디지털 트윈 전문기업아인스에스엔씨, 인공지능 기반 회전기기 고장진단 전문기업 나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20MW 규모의 경주풍력단지를 대상으로 국비와 민간 자본 등 40억 원을 들여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한다.

플랫폼은 오는 12월경 구축예정이다. 이후 현장이 아닌 사무실에서도 풍력발전 단지 운영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김민호 나다 대표(왼쪽), 김태원 동서발전 미래기술융합원장(가운데), 양영진 아인스에스엔씨 대표(오른쪽)이 업무협약을 마치고 기념촬영.
▲김민호 나다 대표(왼쪽), 김태원 동서발전 미래기술융합원장(가운데), 양영진 아인스에스엔씨 대표(오른쪽)이 업무협약을 마치고 기념촬영.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이 통합 적용돼 고장 징후를 사전에 감지해 운영·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상 데이터 등을 활용한 발전량 예측으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극복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동서발전은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국산 풍력발전기에 최적화된 고장진단·출력예측 솔루션을 구현하고, 향후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고도화를 거쳐 상품화와 해외수출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디지털 트윈이란 쌍둥이란 이름 그대로 설비나 제조공정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해 발생가능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 예측하고 현재 운용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 제품의 문제 발생 여부도 빠르게 알 수 있는 ICT 기술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