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금감원, 가상자산 발행·보유공시 신설 추진한다
상태바
금감원, 가상자산 발행·보유공시 신설 추진한다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23.01.16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차원에서 가상자산의 발행과 보유와 관련된 공시 신설이 추진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16일 오후에 열린 가상자산 관련 금융리스크 점검 토론회에서 "가상자산 관련 회계기준 정립을 통해 충실한 회계정보 공시를 유도하고자 한다"면서 "가상자산 발행과 보유와 관련한 회계상 주석공시 의무를 신설하고 모범 사례도 배포할 것"이라고 밝혔다.
 

▲ 16일 오후에 열린 가상자산 관련 금융리스크 점검 토론회에서 이복현 금감원장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16일 오후에 열린 가상자산 관련 금융리스크 점검 토론회에서 이복현 금감원장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금감원은 가상자산 리스크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가상자산 관련 모니터링 툴 개발도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가상자산 시장과 전통적 금융시장 간 상호 연계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당국이 잠재위험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면서 "가상자산 관련 모니터링 툴 개발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 잠재리스크를 측정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날 열린 토론회에서는 가상자산 리스크가 당장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지만 직간접적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금융시장 자산규모 대비 가상자산 비중이 낮아 금융안정을 위협하거나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수준은 아니다"면서 "오히려 규제나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어있지 않아 불공거래와 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한 규제감독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위원은 "향후 가상자산 시장이 발달했을 때 금융시장과의 연결성이 커져 직간접적으로 익스포져 확대에 따른 피해에 대해서는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역시 가상자산 리스크가 당장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게 보고 있다. 다만 가상자산 시장과 전통적인 금융시장 사이 연결고리에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시하고 있다.

김부곤 금감원 디지털금융혁신국장은 "점진적으로 위험지표 등 모니터링 툴 발굴과 개선 그리고 정기적인 리스크 점검 실시가 필요하다"면서 "위험도가 높은 전이경로와 금융회사에 대해 기존 감독수단을 활용해 중점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 인식조사와 국제 감독기구와의 공조 등을 통한 신규 리스크 요인도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상자산업계를 대표해 나온 플랫폼 기업 쟁글의 김준우 대표는 가상자산 잠재 리스크 모니터링 툴에 대해 아직까지 모니터링 툴이 없어 정보 비대칭 문제가 심각하고 이로 인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성장을 위해 규제와 함께 온 체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툴의 발전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